| 한자 | 長川 4號 古墳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청석진 장천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구려 고분 |
|---|---|
| 양식 | 봉토 석실분 |
| 크기 | 둘레 60m, 높이 3m |
| 문물|보호단위등급 | 성급문물보호단위(省級文物保護單位)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5년 |
|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향백향 장천촌 |
길림성 집안시 동북쪽 황백향 장천촌(長川村) 북쪽 장천 묘구에 위치한 고구려고분.
1985년 집안현 박물관의 장천 고분군 일제 조사 때 벽화 고분인 것은 확인되었으나 정식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JCM004로 편호(編号)했다.
봉토 석실 벽화묘로 둘레는 60m, 높이는 3m의 장방형(長方形)으로 이혈(異穴) 쌍실분이다. 방향은 서쪽으로 53도 치우친 남향이며, 두 개의 묘실이 각기 독립된 상태이나 하나의 분구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서남쪽 모서리에 각각 한 개씩의 도굴 구멍이 남아 있다. 남쪽 묘실은 길이 2.65m, 폭 2.35m, 높이 3m이며, 묘도 길이는 1.1m, 폭은 1.15m, 높이 1.5m로 천정은 7층의 불규칙한 고임이다. 묘실 남북으로 나란히 석관 2개가 놓여 있으며, 묘실 안에 백회를 바르고 그 위에 벽화를 그렸으나 대부분 백회가 벗겨져 그 전모를 알 수 없다. 다만, 남벽 중간에 연화문이 확인된다.
북쪽 묘실은 정방형으로 길이와 폭 모두 2.8m, 높이 3.5m, 묘도의 잔여 길이는 1.1m, 폭과 높이는 1.5m이다. 천정은 6층의 불규칙한 고임천장이며, 묘실 벽면의 백회가 대부분 벗겨져 벽화의 모습을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북벽에 연묘(蓮苗)와 남벽 중간부분 아래쪽에 인물의 일부분이 확인된다.
1956년에 고분 내부에서 회색 토기와 뼈가 발견되었다.
출토 유물의 경우 현재 소재를 알 수 없으며, 면밀한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모를 알 수 없음 벽화는 대부분 박락(剝落)이 심하다.
묘실에 남아 있는 벽화의 모양이나 묘실의 구조를 근거로 시기는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로 추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