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묘자 고분군

한자 石廟子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시대 고대/고대
상세정보
성격 고구려 고분군
양식 계단 적석총, 기단 적석총, 봉토 석실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7년 이후
소재지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통구고분군 마선묘구
정의

길림성(吉林省) 집안시(集安市)통구 고분군(通溝古墳群) 마선 묘구(麻線墓區)의 가장 북쪽에 있는 고분군.

개설

석묘자 고분군은 통구 고분군 마선 묘구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는 고분으로 1997년 이후 실측 조사되어 임시로 석묘자 고분군으로 편호되었다가 2013년 현재 마선 묘구에 포함시키고 있다. 고분 40여 기 중 보존 상태가 비교적 좋은 것은 38기이며, 계단식 적석총(階段式積石塚)과 기단식 적석총(基壇式積石塚), 봉토석실분(封土石室墳) 등 다양한 형태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다. 마선 묘구와 같은 M으로 편호(編号)하고 있다.

위치

석묘자 고분군은 길림성 집안시통구 고분군 마선 묘구의 가장 북쪽 마선구하(麻線溝河)의 중상류에 위치하고 있다. 마선 묘구에 귀속시키고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석묘자 고분군은 1966년 통구 고분군 조사 시에도 빠졌고, 1997년 대규모 유적 조사 때도 분류에서 빠졌다가 그 뒤에 조사하여 실측한 후 임시로 석묘자 고분군이라고 지칭하였다. 이후 마선 묘구에 포함시켜 확정하였는데, 40기의 고분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비교적 보존 상태가 좋은 것은 38기이다.

형태

석묘자 고분군은 계단식 적석총, 기단식 적석총, 봉토 석실분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다시 단실묘(單室墓)와 쌍실묘(雙室墓)로 구분할 수 있다. M1은 고분군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 대형묘이다. 계단식 적석총 중 M2·M3·M25·M38는 장방형(長方形)이고, M4·M5·M11~M19·M24·M27·M31·M32는 정방형(正方形)이다. M9는 계단 적석 연접분으로 장방형이며, M10은 계단식 적석총 중 쌍실묘로 동서로 이어져 있다.

M6·M7은 기단식 적석총으로 방형이며 각 변의 길이는 6m, 높이 0.5m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M8은 파괴가 심하여 확정할 수 없으나 기단식 적석총일 가능성이 있다.

M20·M21·M23·M33~M35는 소형 봉토 석실분으로 원구(圓丘)형이고, M22는 봉토분으로 쌍실묘이고 타원형이다. M26·M36·M37은 모두 봉토 석실분으로 원구형이다.

참고문헌
  • 孙仁杰·迟勇, 『集安高句麗墓葬』(香港亞洲出版社,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