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母背嶺 古墳群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재원진 천안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구려 고분군 |
|---|---|
| 양식 | 적석총|기단 적석총|봉토 석실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2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3년 |
|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재원진 천안촌 |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집안시(集安市) 재원진(財源鎭) 천안촌(泉眼村) 서남쪽에 있는 고구려 고분군.
모배령 고분군은 길림성 집안시 재원진 천안촌 서남쪽 2.5㎞에 위치한 모배령(母背嶺)에 있다. 모배령은 노령(老嶺)의 한 줄기인 보마천산(報馬川山)에서 혼강(渾江) 좌안을 향해 펼쳐진 평평하고 완만한 산비탈로 모저배령(母猪背岺)이라고도 한다. 고분군은 산의 북쪽 산과 산 사이 돌출되어 나온 비탈진 땅 위에 분포한다.
1962년 길림성 박물관 문물보사대가 모배령 고분군을 발견했을 당시에는 50여 기의 고분이 있었으나, 1983년 재조사 때에는 38기가 확인되었는데, 18기는 파괴되어 20기만 온존한 상황이었다. 다만, 1993년 발간된 『중국 문물 지도집-길림 분책(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과 2007년 보고서에 의하면 38기의 고분군이 비교적 좋은 상태로 보존되고 있다고 한다.
모배령 고분군은 봉토 석실분이 14기로 대다수를 차지하며, 기단 적석총이 6기, 나머지 묘가 18기이다. 묘실은 모두 지표 위에 쌓았으며, 고분의 각 변 길이는 5~8m가 많지만 10m에 달하는 것도 있다. 고분군의 가운데로 도로가 지나면서 고분이 양쪽으로 나누어 분포한다.
모배령 고분군의 동쪽에는 패왕조 산성(覇王朝山城)이 있고, 이 일대는 고구려 시대 남도(南道)의 길목에 있어 방어의 요충지로서 전쟁과 관련되었던 곳이다. 고분의 형식으로 볼 때 장기간에 걸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조성 연대의 하한선은 고분의 크기로 볼 때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가는 시기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