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老虎哨 古墳群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구려 고분군 |
|---|---|
| 양식 | 횡구식 봉토 석실분|횡혈식 봉토 석실분 |
| 크기 | 약 3,000㎡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2년 4월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1년 10월 |
|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유림진 노호초촌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유림진(楡林鎭) 노호초촌(老虎哨村) 서쪽에 있던 고구려 고분군.
노호초 고분군에 대해 1962년 4월 길림성 박물관과 집안현 문물보관소가 함께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1981년 10월 집안현 문물보관소가 노호초 수력 발전소(老虎哨水力發電站) 공사와 함께 이 고분군에 대한 발굴 정리를 진행하였다.
1981년 발굴 조사에서 17기의 고분을 확인하였다. 이 중 5기는 심하게 파괴되었으나 12기는 모두 봉토가 있었다. 고분은 횡구식 봉토 석실분과 횡혈식 봉토 석실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노호초 고분군의 횡구식과 횡혈식 봉토 석실분은 다시 석실의 개수에 따라 단실묘(單室墓)와 쌍실묘(雙室墓)로 분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쌍실묘의 경우 동실(東室)이 서실(西室)보다 큰 경우가 많다. 이 두 종류의 묘는 또한 산형(鏟形)과 도형(刀形)으로 구분된다.
횡구식 봉토 석실분은 M1과 M4 등 2기로 높이는 1~1.5m이며, 상부는 간단한 말각조정(末角藻井)에 천정은 1~2개의 큰 돌로 덮었다. 묘도(墓道) 입구에 영문석(迎門石)이 있으며, 구형(丘形)으로 봉토하였다. M1은 쌍실묘로 둘레 길이 35.5m, 높이 1.5m로 동쪽으로 30° 치우친 남향으로 평면은 산형(鏟形)이다. M4는 단실묘로 외관은 구형(丘形)이고 주변 길이는 31.6m, 높이는 1.6m로 동쪽으로 20° 치우친 남향이며, 평면은 도형(刀形)이다.
횡혈식 봉토 석실분은 10기로 이 중 M2, M3, M5, M6, M8, M9, M11은 단실묘이며, M7, M10, M12는 쌍실묘이다. 석실 상부는 평천장으로 커다란 판석 하나를 이용해 천정을 덮었고 묘실과 묘도는 낮고 좁아 높이는 70~90㎝ 정도이며, 영문석이 있는 것이 많다. 이 중 M12는 쌍실묘로 산형이며, M7, M10은 도형이다. 그리고 단실묘는 7기인데 이 중 M8만 산형이고, 나머지 M2, M3, M5, M6, M8, M9, M11은 도형이다.
노호초 고분군은 도굴로 인해 출토 유물은 25건 정도만 남아 있다. 주요 유물은 석기(石器)와 도기(陶器)의 잔편이 많으며, 소량의 철기(鐵器)와 은기(銀器)가 있다. 돌칼[石刀片]과 돌화살촉이 M1의 동실(東室)에서 출토되었으며, M8에서 도자기 조각 12건이 출토되었고, M4에서는 철제 화살 1건과 은제 반지 1건, M2에서 철제 손칼 1건이 각각 출토 되었다.
노호초 고분군은 1981년 노호초 수력 발전소 건설로 인해 완전히 수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