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金家村 古墳群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두도진 금가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구려 고분군 |
|---|---|
| 양식 | 계단 적석총|기단 적석총| 봉토 석실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2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3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5년 |
|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두도진 금가촌 |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집안시(集安市) 서북쪽 두도진(頭道鎭) 금가촌(金家村) 서쪽 산비탈에 있는 고구려 고분군.
금가촌 고분군과 관련해서 1962년과 1983년 집안현 문물보관소가 조사를 진행하여 16기의 고분을 확인하고 실측하여 번호를 부여하였다. 2005년 다시 조사하여 측량, 도면 작성, 기록을 완료하였다. 2005년 조사 당시 기존의 분묘 외에 새롭게 발견된 분묘를 합해 모두 26기의 고분을 확인하였다. 계단 적석총과 기단 적석총이 각각 1기씩이며, 나머지 24기는 모두 봉토 석실묘로 확인되었다.
금가촌 고분군의 JTJM1호는 계단 적석총으로 방형(方形)이며, JTJM2호는 기단 적석총으로 원구형(圓丘形)이다. JTJM3호~9호는 모두 원구형 봉토 석실묘이고, JTJM10호~26호 역시 봉토 석실묘이다. JTJM1호는 각 변의 길이는 8m, 높이는 1.3m이며 묘는 2층의 계단으로 쌓았다. JTJM2호 직경 6m, 높이 1.7m로 묘의 하단부에 원형의 기단이 있다. JTJM3호~9호는 직경 5~6.5m, 높이 1.2~1.6m 사이이다. JTJM10호~26호는 직경이 4~6m, 높이는 0.6~1.2m 사이이다.
금가촌 고분군에 대해 2005년 실시된 발굴 조사에 의하면 심하게 파괴된 고분도 있으나, 일부의 고분은 잘 정비되어 보존 상태가 좋은 것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