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使者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 유형 | 제도/관직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관등 |
|---|
고구려 시대에 존재했던 관등의 명칭.
고구려의 관등 조직은 형(兄)과 사자(使者)의 명칭을 중심으로 관등이 분화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한원』에 기록되어 전하는 고구려의 14관등 가운데 대형·소형 등 형 계열과 태대사자·대사자·발위사자·상위사자 등 사자 계열이 존재하고 있다.
형은 연장자 내지 가부장적 족장의 뜻을 지닌 것으로, 종래의 족장 세력이 집권적인 왕권 아래 통합·편제되는 과정에서 각기 그들의 족적 기반의 차이에 따라 개편된 것이다. 사자는 원래 조부를 거두어 들이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것으로, 이것은 행정적인 관리 출신이 그들의 지위에 따라 여러 관등으로 분화·편제된 것이다. 고구려 중앙 정치 제도는 관부 및 관직명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으로 미루어 볼때, 사자는 관등인 동시에 관직의 의미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