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

한자 相加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관직
지역 길림성/요녕성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정의

중국 동북지역에 있었던 고대국가인 고구려 초기 최고위 관직(등).

담당 직무

상가의 성격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있지만 크게 나누면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고조선 시기의 ‘조선상(朝鮮相)’이나 ‘이계상(尼谿相)’처럼 유력자(有力者)를 뜻하는 상(相)에 족(族)을 뜻하는 가(加)가 붙은 것으로 5부족의 장이나, 5부의 지배자 공동체를 대표하는 제가(諸加) 계급에게 주어졌던 관이었다고 보는 것이다. 이와 달리 상가는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 군신의 대표자로 나오는 국상(國相)이며, 이는 곧 제가회의(諸加會議)의 장이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관련 기록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 고구려조(高句麗條)에는 “그 나라에는 왕이 있고 관으로는 상가(相加), 대로(對盧), 패자(沛者), 고추가(古鄒加), 주부(主簿), 우태(優台), 승(丞), 사자(使者), 조의(皁衣), 선인(先人) 등이 있는데, 존귀하고 비천함에 따라 각각 등급이 있었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상가는 10개 관 중 가장 먼저 나오는 최고위 관이다.

의의와 평가

『삼국사기』에 나오는 국상은 관등이 아닌 관직이다. 국상이 곧 상가라면 『삼국지』에 나오는 다른 9개 관등과 성격상 차이가 있다. 고구려 초기에는 아직 관등과 관직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는데, 상가가 그 대표적인 예다. 상가는 초기 고구려 관등을 보여주는 기사에만 나오고 후기 기사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삼국지(三國志)』
  • 노중국, 「高句麗國相考」上·下(『韓國學報』 16·17, 1979)
  • 김철준, 「高句麗·新羅의 官階組織의 成立過程」(『李丙燾博士華甲記念論叢』, 1956) ; 『한국고대사회연구(韓國古代社會硏究)』(지식산업사, 1975)
  • 武田幸男, 「高句麗官位制とその展開」(『朝鮮學報』86, 1978)
  • 김광수, 「高句麗의 ‘國相’職」(『李元淳停年紀念史學論叢』, 1991)
  • 임기환, 「고구려 초기 官階組織의 성립과 운영」(『慶熙史學』19, 1995)
  • 여호규, 「高句麗 初期의 諸加會議와 國相」(『한국고대사연구』13, 1998)
  • 조영광, 「고구려 초기의 국가형성」(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