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迎鼓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 지역 | 길림성 |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부여 |
| 성격 | 제천의례 |
|---|
부여에서 12월에 행하던 제천 의례.
부여는 한국 역사 속의 초기 국가였는데, 영고(迎鼓)는 부여에서 12월에 거행하였던 제천 행사였다. 영고에 관한 기록은 『삼국지(三國志)』와 『후한서(後漢書)』에 전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삼국지』 동이전의 부여에 관한 기록에는 “은(殷) 정월(正月)에 하늘에 제사하고 나라 사람들이 크게 모여서 연일 마시고 먹고 노래하고 춤추니, 그 이름을 영고(迎鼓)라 한다. 이때에는 형벌과 옥사를 판결하고 죄수들을 풀어준다.”고 하였다. 『후한서』에도 비슷한 내용이 전하는데, 다만 첫 구절의 시기를 납월(臘月)로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납월은 음력 12월의 다른 이름이고, 은력(殷曆)의 정월도 오늘날의 음력 12월을 의미하므로 사실상 두 기록은 같은 시기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영고는 시기상 일종의 겨울 축제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겨울 축제는 기본적으로 겨울의 끝자락에서 봄의 도래를 기뻐하는 축제였다. 실제로 부여에서 은력(殷曆)을 사용했는지는 명확하지 않지만 ‘정월(正月)’이라고 했던 것은 영고가 한 해의 시작을 뜻하는 의례였을 가능성 또한 보여준다.
농경에 기반한 고대 사회에서는 흔히 추수 감사제의 성격을 갖는 제천 의례를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의 동맹(東盟), 동예(東濊)의 무천(舞天), 삼한의 시월제(十月祭) 등이 그것인데, 이들은 모두 추수가 끝나는 10월에 행해졌다. 부여의 영고가 12월에 행해졌던 것은 부여 사회가 농경에 기반하고 있으나 원시 시대 수렵 사회의 전통을 계승했기 때문일 수도 있다.
북방 유목 민족, 특히 흉노족(匈奴族)의 경우 각 분지(分地) 내의 각각의 집단들을 누층적으로 편제하는 형태로 국가 체제를 확립했기 때문에 부족적 차원의 제천 행사를 국가적 차원의 행사로 승격시켰다. 이를 통해 흉노 전체의 결속력을 높이는 한편 각 집단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으며, 제천 행사시 제장 회의(諸長會議)를 개최하여 국가의 중대사를 의결하였다.
부여 역시 사출도(四出道)로 지방을 일정 단위로 나누어 통제하던 체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을 고려할 때, 부여족 전체의 행사이므로 ‘국중 대회’라 하였고, 그 모습은 흉노와 비슷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때에는 노래와 춤이 성행하였다. 이는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고기잡이·사냥·농경 등의 중요한 생산 활동을 모두 씨족원의 공동 노동으로 행하였기 때문에 풍작을 기원하는 종교적 의식이면서도 씨족 사회 이래의 전통을 이은 축제였다고 할 것이다.
영고는 부여가 아직 전국적인 지배 조직을 갖추지 못하고 지방의 부족적인 독자성이 온존하고 있던 상황에서 비단 민속적인 행사로서 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통합기능도 아울러 가지고 있었던 행사였다. 또한 형옥을 판결하고 죄수들을 풀어주었다는 것은 재판과 처벌이 제의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