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李斗益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독립운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동북항일연군|인민군 차수 |
| 출생 시기/일시 | 1919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6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
| 활동 시기/일시 | 1948년 9월 |
| 활동 시기/일시 | 1948년 8월 |
| 활동 시기/일시 | 1958년 2월 |
| 활동 시기/일시 | 1962년 2월 |
| 활동 시기/일시 | 1963년 5월 |
| 활동 시기/일시 | 1968년 6월 |
| 활동 시기/일시 | 1970년 11월 |
| 활동 시기/일시 | 1985년 4월 |
| 활동 시기/일시 | 1992년 |
| 몰년 시기/일시 | 2002년 3월 13일 |
| 거주|이주지 |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
| 활동지 | 길림성 장백현 |
| 활동지 | 길림성 임강현 |
| 활동지 | 평양 |
일제 강점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활동했던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이두익은 1919년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에서 농업에 종사했다. 1936년 장백현(長白縣) 심곡(沈谷) 아동단에 가입했고, 동북 항일 연군 제2군 제6사 소속의 소년병으로서 항일 무장 투쟁에 참가했다. 1938년 임강현(臨江縣) 일대에서 활동했다. 해방 후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에 참여했다. 1948년 8월 조선 인민군 중대장, 1958년 2월 인민군 제3연대장, 1962년 2월 제9사단장, 1963년 5월 민족보위성 국장이 되었다. 1968년 6월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정부로부터 영웅칭호와 제1급 국기훈장을 받았다. 1970년 11월 조선 노동당 중앙위원이 되었고, 당 중앙군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1985년 4월 인민군 대장이 되었고, 1992년 차수로 승진했다. 2002년 3월 13일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