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盧昌律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독립운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고려 공산 청년회 남만도 간부 |
| 출생 시기/일시 | 1907년 |
| 수학 시기/일시 | 1923년 9월 |
| 수학 시기/일시 | 1927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2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5년 2월 |
| 활동 시기/일시 | 1926년 2월 |
| 활동 시기/일시 | 1927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7년 4월 |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1월 |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10월 |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1년 |
| 몰년 시기/일시 | 1931년 |
| 출생지 | 함경북도 경성 |
| 거주|이주지 |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두도구(頭道溝) |
| 학교|수학지 | 길림성 용정 |
| 활동지 | 평강 장흥동 소오도구 |
| 활동지 | 두도구 |
| 활동지 | 길림성 영안현 |
| 활동지 | 길림성 영안현 영고탑 |
| 활동지 | 길림성 |
| 활동지 | 길림성 |
| 활동지 | 길림성 |
| 활동지 | 길림성 |
일제 강점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활동했던 함경북도 경성 출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노창율은 1907년 함경북도 경성에서 출생하였다.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두도구(頭道溝)로 이주했다. 1922년 평강(平崗) 장흥동(長興洞) 소오도구(小五道溝) 일대에서 동구청년회를 조직했다. 1923년 9월 용정(龍井)동흥 중학(東興中學)에 입학했다. 1925년 2월 동만(東滿) 청년 총연맹 산하 두도구 지방 연맹 결성에 참여하고 대표자가 되었다. 1926년 2월 용정에서 사상단체 평우동맹(萍友同盟) 조직에 참여하였다. 1926년 봄 고려 공산 청년회 만주비서부 산하 연길현 수남(水南)야체이까에 입회했다.
1927년 동흥 중학을 졸업하고 간도 개척리(開拓里) 보성촌(普成村)에서 야학을 개설하는 한편 청년회·부녀회·농민협회·소년단 활동에 참여했다. 1927년 4월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에 입당했다. 1927년 10월에 일어난 ‘제1차 간도 공산당 검거사건’ 때 검거를 피하기 위해 1928년 1월 소련으로 이동했다. 그 후 북간도로 귀환하여 화요파 공산 주의 그룹의 재건 활동에 참여하였다. 1928년 10월 ‘제2차 간도 공산당 검거사건’ 당시 영안현(寧安縣)으로 피신하였다. 이 시기 화요파 고려 공산 청년회남만도(南滿道) 간부로 활동했다. 1930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고, ‘간도 5·30 봉기’에 참여했다. 1931년 초 반일 농민 운동에 참여했다가 피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