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우

한자 金哲友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동북 항일 연군제2로군 제7군 당위원회 위원|조선노동당 중앙후보위원|양강도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출생 시기/일시 1903년
활동 시기/일시 1929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31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34년
활동 시기/일시 1935년
활동 시기/일시 1937년
활동 시기/일시 1939년 4월
활동 시기/일시 1941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41년 8월
활동 시기/일시 1956년 4월
활동 시기/일시 1959년 7월
출생지 함경북도 경성
거주|이주지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활동지 길림성 영안현
활동지 왕청현
활동지 길림성
활동지 길림성
활동지 평양
정의

일제 강점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활동했던 함경북도 경성 출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김철우는 1903년 함경북도 경성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부모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으로 이주했다. 1929년 3월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에 입당했다. 1931년 5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왕청구위원회 선전부장이 되었다. 1934년 항일 유격대에 입대했다. 1935년 북만(北滿)으로 파견되어 제4군, 제5군에서 정치공작에 참여했다. 1937년 동북 항일 연군 제2로군 제7군 당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1939년 4월 소련 영내로 이동하여 1941년 3월 동북 항일 연군 교도려[敎導旅, 소련극동방면군 제88보병여단] 남야영[南野營, B야영]의 후보위원이 되었다. 1941년 8월 B야영 임시 당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해방 후 귀환하여 1956년 4월 조선 노동당 중앙후보위원, 1959년 7월 양강도 인민위원회 부위원장이 되었다.

참고문헌
  • 강만길·성대경 엮음, 『한국 사회주의 운동 인명 사전』(창작과 비평사. 1996)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