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규

한자 金哲奎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고려 공산 청년회 만주총국 연길 학산동(學山洞)야체이까 책임자
출생 시기/일시 1903년
활동 시기/일시 1928년
활동 시기/일시 1929년
활동 시기/일시 1930년 2월 28일
활동 시기/일시 1930년 3월 1일
활동 시기/일시 1931년 12월
출생지 함경북도 경성
활동지 길림성 영안현 영고탑
활동지 길림성 연길현
활동지 길림성 연길현
정의

일제 강점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활동했던 함경북도 경성 출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김철규는 1903년 함경북도 경성 출신이다. 1928년 5월 고려 공산 청년회 만주 총국[화요파]에 가입했다. 1929년 5월 고려 공산 청년회연길 학산동(學山洞) 야체이까의 책임자가 되었다.

1930년 ‘3·1 운동 11주년 기념 준비 위원회’의 지도하에 2월 28일과 3월 1일 두 차례의 농민 시위에 참여했다. ‘제3차 간도 공산당 검거 사건’ 때 130여 명의 동료와 함께 일본영사관 경찰에 검거되어 6월 서대문형무소로 이감되었다. 1931년 12월 징역 2년 6개월을 선고받았다. ‘제3차 간도 공산당 검거 사건’은 1930년 2월경부터 5월까지 오랫동안 시위투쟁을 준비하고 지도하는 과정에서 계속적으로 검거 당한 사건을 통칭하여 일컫는다. 이 사건은 실질적으로 ‘3·1 운동 11주년 기념 반일 시위 투쟁’을 주도한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 화요파 간부 등에 대한 대대적인 검거였다.

참고문헌
  • 강만길·성대경 엮음, 『한국 사회주의 운동 인명 사전』(창작과 비평사, 1996)
  •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소 편 『한국 독립운동사 사전』6(독립기념관, 2004)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