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金恩植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독립운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간도 5.30 봉기|중국 공산당|왕청현 유격대 정치위원 |
| 출생 시기/일시 | 1908년 |
| 수학 시기/일시 | 1917년 |
| 수학 시기/일시 | 1927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9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 5월 |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1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2년 |
| 몰년 시기/일시 | 1932년 11월 6일 |
| 출생지 | 함경북도 부령군 연천면 |
| 거주|이주지 | 길림성(吉林省) 왕청현 합마당(哈蟆塘) 대방자촌(大房子村) |
| 학교|수학지 | 길림성 왕청현 |
| 학교|수학지 | 길림성 용정 |
| 활동지 | 길림성 용정 |
| 활동지 | 길림성 용정 |
| 활동지 | 왕청현 일대 |
일제 강점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활동했던 함경북도 부령군 연천면 출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김은식은 1908년 함경북도 부령군 연천면에서 태어났다. 독립운동을 하던 아버지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왕청현 합마당(哈蟆塘) 대방자촌(大房子村)으로 이주했다. 1917년 보신학교(普信學校)에 입학하여, 소학교 과정을 마치고 2년간 보습반에 다녔다. 1927년 용정(龍井)대성 중학(大成中學)에 입학하여 비밀 학생 조직에 참여했다. 1929년 대성중학을 중퇴하고 고향에 돌아가 사회주의 운동에 종사했다.
1930년 5월 ‘간도 5·30 봉기’에 참가하고, 그 해 가을 대방자촌추수 투쟁을 지휘하였다. 또한 1930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31년 초 별동대를 조직하여 일본 밀정을 처형하고 무기를 탈취했다. 1932년 봄 춘황 투쟁(春荒鬪爭) 당시 남합마당에서 만주국군을 습격하여 무장을 탈취하고, 여름에도 만주국자위단을 습격하여 무기를 노획했다. 1932년 말 왕청현 유격대가 결성되자 정치위원이 되었다. 당의 지시에 따라 5명의 동지들과 함께 관전보(關全保)가 지휘하는 반일 산림대에 가담하여 참모장이 되었다. 1932년 11월 6일 일본군에게 항복하려는 관영장(關營長)에게 저항하다가 살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