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金明柱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독립운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인민혁명군 독립4사 작전참모 |
| 출생 시기/일시 | 1912년 10월 30일 |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 5월 |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 10월 |
| 활동 시기/일시 | 1935년 5월 |
| 활동 시기/일시 | 1935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7년 |
| 활동 시기/일시 | 1940년 9월 |
| 활동 시기/일시 | 1943년 |
| 활동 시기/일시 | 1945년 |
| 활동 시기/일시 | 1945년 8월 |
| 활동 시기/일시 | 1948년 ~ |
| 몰년 시기/일시 | 1969년 8월 16일 |
| 출생지 | 함경북도 명천군 아간면 |
| 거주|이주지 | 길림성 연길현 세린하 |
| 활동지 | 연길현 풍흥동 |
| 활동지 | 연길연 연길감옥 |
| 활동지 | 안도현 차창자 |
| 활동지 | 연길현 일대 |
| 활동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연길현 |
일제 강점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활동했던 함경북도 명천군 아간면 출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김명주는 1912년 10월 30일 함경북도 명천군 아간면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세린하(細麟河)로 이주했다.
김명주는 1930년 5월 연길현 풍흥동(豊興洞) 농민 협회에 가입했고, 그 해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에 가입했다. 1930년 10월 중국보안대에 붙잡혀 징역 6년형을 선고받고 연길감옥에서 복역했다. 1935년 5월 탈옥투쟁 지도부, 탈옥결사대 총지휘자가 되어 연길감옥을 부수고 탈옥했다.
1935년 김명주는 안도현(安圖縣) 차창자(車廠子) 항일 유격 근거지를 찾아가 동북 인민 혁명군 제2군에 입대했다. 안도·무송(撫松)·화룡(和龍) 등지에서 유격활동에 종사하다가 일곱 차례 부상을 입었다.
1937년 7월 김명주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40년 9월 소련 영내 동북 항일 연군 야영지로 이동했다. 1943년 연길현 일대에서 소부대 정찰활동에 종사했다. 1945년 여름 정찰활동을 위해 연길현 다조구(茶條溝) 일대로 파견되었다. 1945년 6월 하순에 귀대하여 8월 길동군구(吉東軍區) 경비대연장(連長), 제10종대 제30사 영장(營長), 독립4사 작전참모 등을 역임했다. 1949년 이후 연변(延邊)에서 연변전원공서 무장과 부과장, 기업과 과장, 연변조선족자치주 민정처 부처장, 시찰실 시찰원 등 공직생활을 하였다. 이후 문화대혁명 때 박해를 받고 1969년 8월 16일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