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金根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독립운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조선 공산당 만주총국|고려공산당 만주총국 조직부 책임자|철혈단|동북 항일 연군제8군 제1사 정치부주임 |
| 출생 시기/일시 | 1903년 |
| 수학 시기/일시 | 1910년 |
| 수학 시기/일시 | 1916년 |
| 수학 시기/일시 | 1918년~1921년 |
| 수학 시기/일시 | 1922년 |
| 수학 시기/일시 | 1923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4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5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6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7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8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9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1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2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3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4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5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6년 |
| 몰년 시기/일시 | 1937년 10년 12일 |
| 출생지 | 함경북도 경흥군 웅기읍 |
| 거주|이주지 |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상천평(上泉坪) |
| 학교|수학지 | 화룡현 |
| 학교|수학지 | 화룡현 |
| 학교|수학지 | 연길현 |
| 학교|수학지 | 길림 |
| 학교|수학지 | 남경 |
| 활동지 | 길림성 |
| 활동지 | 길림성 영안현 영고탑 |
| 활동지 | 길림성 용정 |
| 활동지 | 흑룡강성 영안현 |
| 활동지 | 길림성 왕청현 나자구 |
| 활동지 | 영안현 동경성 |
| 활동지 | 길림성 통화현 |
| 활동지 | 길림성 통화현 |
일제 강점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활동했던 함경북도 경흥 출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김근은 함경북도 경흥에서 태어났다. 1908년 부모를 따라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상천평(上泉坪)으로 이주했다. 광재욕 서당에서 2년간 수학하였다. 1910년 화룡현양정 학교(養正學校), 1916년 연길 중학(延吉中學)에 입학하였다. 1918년 봄 길림 공업 학교에 진학하여 1921년에 졸업하였다. 1922년 5월 남경 대학(南京大學)에 입학했다가 1923년 중퇴했다.
1924년 북장동(北樟洞) 소학교 교장, 1925년 걸만동(傑滿洞) 소학교 교장, 1926년 화룡현 제14소학교 교장이 되었다. 교원으로 재직 중 학생과 농민들에게 사회주의 사상을 선전하였다.
1926년 5월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에 입당했다. 1926년 가을 고려 공산 청년회 만주총국 조직부 책임자가 되었다. 1927년 5월 전용락(全龍洛)과 함께 중국경찰에 체포되었으나,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의 노력으로 석방되었다. 1928년 용정(龍井)대성 중학(大成中學)에서 영어와 중국어 교사로 일하면서 사회주의 사상을 선전했다. 겨울 용정에서 친일파 밀정 처단을 목적으로 하는 의열 단체 철혈단(鐵血團)을 결성했다. 1929년 여름 대성중학 교사를 사임하고 반일 동맹 청년단을 조직했다.
1930년 4월 흑룡강성(黑龍江省) 영안현(寧安縣) 화검구(和瞼溝)로 이주하였다. 1930년 6월 영안에서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30년 9월 중국 공산당 길동국(吉東局)의 지시에 따라 왕청현(汪淸縣) 나자구(羅子溝)에서 무장폭동을 준비하기 위해 군사위원회를 결성했다. 1930년 10월 왕청 노농 유격대 결성에 참여했다.
1931년 여름 영안현 동경성(東京城)에서 대중 조직 사업에 참여했다. 1931년 9월 만주사변이 일어나자 북만(北滿) 노농 의용대를 결성하고 대장이 되었다. 1932년 가을 국민당계 반만 항일 부대인 이연록(李延錄)의 구국군(救國軍)에 입대하여 영안현 무장부대들의 반일통일전선 결성을 위해 노력했다. 1933년 3월 요영자(腰岺子) 전투, 가을 대과규(大鍋奎) 전투에 참전했다.
1934년 2월 합달하(哈達河)에서 북만 노농 의용대를 재편성하여 밀산(密山)유격대를 결성하고 지도원 겸 참모장이 되었다. 10월 밀산 유격대를 동북 인민 혁명군 제4군 제2단으로 재편하고, 제4군 참모처장이 되었다. 1935년 3월 제4군 제2단 대리단장을 겸임했다. 1936년 9월에는 동북 항일 연군 제8군 제1사 정치부 주임이 되었다.
1937년 10월 12일 화천현(樺川縣) 납자산(磖子山)에서 제8군 제1사 내부의 배반자에게 살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