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벽

한자 權永壁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항일 연군 제1로군 제2군 제6사 조직과장
출생 시기/일시 1909년
수학 시기/일시 1925년
활동 시기/일시 1931년 7월
활동 시기/일시 1931년 11월
활동 시기/일시 1932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활동 시기/일시 1935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36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36년 9월
활동 시기/일시 1937년 2월
활동 시기/일시 1937년 6월
활동 시기/일시 1937년 10월
몰년 시기/일시 1945년 3월 10일
출생지 함경북도 경성군 룡성면 근동리
거주|이주지 연길현 팔도구 회룡촌 뒤골인 동구(동골)
학교|수학지 길림성 용정
활동지 길림성 용정
활동지 안도현(安圖顯) 차창자(車廠子)
활동지 화룡현
활동지 장백현
정의

일제 강점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활동했던 함경북도 경성 출신의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권영벽은 1909년 함경북도 경성군 용성면 근동리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김수남이다. 1920년 11살 때 아버지를 따라 연길현(延吉縣) 팔도구(八道溝) 회룡촌 뒤골인 동구(동골)로 이사해왔다. 이곳에서 봉명 학교(鳳明學校)를 다니며 농사일을 도왔다. 1925년 용정대성 중학에 입학하였고, 재학 중 비밀공산주의단체에 가입하였다.

권영벽은 졸업 후 봉명 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1931년 7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31년 만주 사변 이후 일제의 만주침략에 반대하는 항일 투쟁을 주도하였으며, 11월 팔도구에서 추수 투쟁에 참여하였다

1932년 봄 권영벽은 중국 공산주의 청년단 옹성랍자구 위원회 서기가 되었다. 1933년 항일 유격대를 지원했으며, 삼도만(三道灣) 항일 유격 근거지 설립을 도왔다. 1935년 봄 일본군의 유격 근거지 토벌에 대응하여 옹성랍자 근거지에 있던 대중을 이끌고 안도현(安圖顯) 차창자(車廠子) 근거지로 이동하였다. 1935년 3월 동북 인민 혁명군에 입대하여 독립사(獨立師) 제2단 정치 지도원 겸 당지부 서기가 되었다. 1936년 3월 동북 항일 연군 제1로군 제2군 제6사에 편입되어 사부(師部) 조직과장, 선전과장을 역임하였다. 1936년 9월 장백현(長白顯)에서 재만 한인 조국광복회 지부조직 사업에 참가했다. 1937년 2월 중국 공산당장백현위 건립을 도왔다. 1937년 6월 보천보(普天堡) 전투에 앞서 박달(朴達)과 함께 보천보를 정찰하고, 항일 연군 도강과 전투를 지원했다.

권영벽은 1937년 10월 ‘혜산 사건’에 연루되어 장백현에서 체포되었다. 함경남도혜산 경찰서로 압송되었다가 1938년 봄 함흥 형무소로 옮겨졌다. 1941년 5월 함흥지법에서 사형 선고를 받고, 8월 서대문 형무소로 이감되어, 1945년 3월 10일 교수형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 강만길·성대경 엮음, 『한국 사회주의 운동 인명 사전』(창작과 비평사, 1996)
  • 장세윤, 『1930년대 만주 지역 항일 무장 투쟁』(독립 기념관 한국 독립운동사 연구소, 2009)
  • 중국 조선어 방송넷 (http://www.krcnr.cn)
  • 한국 독립운동사 정보 시스템 (http://search.i815.or.kr)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