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高錫浩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독립운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동북 인민 혁명군 제7군 군수처장 |
| 출생 시기/일시 | 1899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6년 |
| 활동 시기/일시 | 1926년 8월 |
| 활동 시기/일시 | 1927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0년 |
| 활동 시기/일시 | 1934년 |
| 몰년 시기/일시 | 1936년 12월 |
| 출생지 | 함경북도 경흥군 |
| 거주|이주지 | 길림성 연길현 |
| 학교|수학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
일제 강점기 연변조선족자치주에서 활동했던 함경북도 경흥군 출신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고석호는 함경북도 경흥군 출신으로 독학으로 중학 과정을 마쳤다. 고향인 경흥군에서 서당훈장으로 일하다가 1920년대 중엽 길림성 연길현으로 이주하였고, 용정대성중학에 편입하였다. 1926년 사회주의 사상단체 문우회(文友會)에 가입하였다. 1926년 8월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에 입당하여 동만도 구역국(東滿道區域局) 제4지부에 배속되었다. 1927년 고려 공산 청년회 만주 총국남만도(南滿道) 제2구 간부 등을 역임하였다. 1930년 북만주 탕원현(湯原縣)·요하현(饒河縣)으로 활동 지역을 바꾸고, 그곳에서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였다. 1934년 동북인민혁명군에 입대하여 제7군 군수처장이 되었다. 1936년 12월 요령성 요하현에서 일본군과 전투 중에 전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