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西來洞 虐殺 事件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한인 학살 사건 |
|---|---|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20년 10월 23일 |
| 발생|시작 장소 | 용정시 서래동 |
1920년 10월 23일 회령 주재 일본군 75연대 소속 회령 수비대가 화룡현 서래동에서 한인들을 학살한 사건.
1920년 10월 9일 조선 주둔 일본군은 약 2만의 병력으로 간도 지역을 무력 침공하기 시작하였다. 일본군 병력의 주 전력은 조선 주둔 일본군 19사단이었다. 19사단은 기림 지대(磯林支隊)·목촌 지대(木村支隊)·동 지대(東支隊) 등으로 나누어 간도 지역을 무력 침공하였다. 회령에 위치한 보병 제38여단 사령부와 보병 제75연대를 근간으로 한 기림 지대는 주둔지와 가까운 훈춘 방면으로 침략을 시도하였다. 나남에 위치한 보병 제76연대를 중심으로 목촌 지대는 온성에서 왕청 방향으로 침략을 시도하였다. 또한 나남에 위치한 보병 제73연대 제2대대, 제73연대 제3대대를 근간으로 하는 동 지대는 회령 등지에서 용정 방면으로의 침략을 시도하였다.
이들 간도 침공 일본군 부대들은 간도 일대의 한인들을 불령 선인이라는 명목으로 1920년 10월부터 1921년 1월까지 한인들을 학살하기 시작하고, 한인 부락을 초토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일본군은 무자비하고 잔악한 방법으로 한인을 학살하고 부락을 방화하고 약탈하였다. 이러한 일본군의 대대적인 간도 지역 한인 학살을 ‘간도 참변’ 혹은 ‘경신 참변’이라 한다.
훈춘 방면으로의 침공을 맡은 기림 지대 병력 가운데 회령 주재 75 연대 소속 회령 수비대는 독립군 토벌을 목적으로 두만강을 넘어 화룡현 일대에서 한인들을 이른바 불령 선인으로 몰아 학살하였다.
서래동은 용정시 삼합진에서 용정으로 들어가는 큰길을 따라 서북쪽 13㎞ 가량 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는 곳이다. 이곳 화룡현(和龍縣) 사대사(四對社) 서래동(西來洞)으로 1920년 10월 23일 나리다[成田] 중좌가 지휘하는 회령 수비대(會寧守備隊)가 진군하여 민가 2채와 공립 제2 국민학교(第二國民學校)를 소각하고 여러 한인들을 학살하였다.
학살된 한인들 중에는 군정서원(軍政署員) 김명호(金明浩)의 조카로서 중국길림성 화룡현(吉林省和龍縣)에서 항일 활동을 하던 김상렬(金尙烈), 광복단(光復團) 통신 부장(通信部長)으로 독립운동을 하던 김안삼(金安三), 화룡현 사대사 서래동에서 제2 국민학교(第二國民學校) 부장으로 항일 활동을 하던 진윤극(陳允極), 서래동에서 제2 국민학교(第二國民學校) 교사로 근무하면서 독립군 양성과 독립군 모연(募捐)에 주력하였던 김영석(金英石)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