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完樓溝戰鬪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20년 10월 22일 |
|---|---|
| 발생|시작 장소 | 화룡시 어랑촌 |
1920년 10월 22일 일본군 아즈마 지대, 이이노[飯野] 대대와 홍범도 연합 부대가 화룡현 완루구천리봉에서 벌인 전투.
1920년 6월 봉오동 전투에서 참패한 일본군은 간도 지방에서 독립군의 세력을 뿌리 뽑기 위해 10월 2일 간도 지방으로의 출병의 구실로 훈춘 사건을 조작하고 10월 14일 본격적인 간도 지방 무력 침공을 선언하였다. 10월 17일부터 본격적인 군사 행동에 들어간 일제는 조선 주둔 일본군 19사단을 중심으로 약 2만 명이 넘는 병력을 작전에 투입하였다.
그 부대들 중 용정·국자가[연길]·두도구 방면의 초토를 책임진 아즈마 지대는 1920년 10월 17일 홍범도 부대와 김좌진 부대가 어랑촌, 청산리 부근에 주둔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10월 18일에 일본군은 부대를 나누어 삼도구 청산리 부근의 김좌진 부대와 와룡구 어랑촌 부근에 있는 홍범도 부대를 토벌하기 위해 출발하였다.
아즈마 지대 중 홍범도 부대의 토벌을 담당한 이이노 대대는 1920년 10월 22일 완루구에서 홍범도 부대에 타격을 입고, 천수동에서도 김좌진 부대와 홍범도 부대의 연합 작전에 의해 타격을 입었다. 이어서 홍범도 부대가 천보산 전투에서 일본군 수비대에게 큰 피해를 입히자 이이노 부대는 홍범도 부대를 괴멸시키기 위해 추격을 계속하였다.
완루구는 지금 어랑촌 마을의 서쪽에서 서북 방향으로 뻗은 골짜기로 어랑촌에서 7.5㎞ 들어가면 남완루구가 있고 그곳에서 서쪽으로 좀 더 올라가면 령마루가 있다. 령마루는 남완루구와 북완루구의 분계선이자 또한 천리봉의 기슭으로 이곳이 바로 완루구 전투의 지점이다.
독립군 부대를 일거에 소멸하려 두만강을 건너온 일본군 아즈마 지대는 홍범도 연합 부대가 어랑촌 부근에 있다는 정보에 근거하여 이도구로부터 곧바로 어랑촌에 와서 본부를 설치하였다. 일본군은 1920년 10월 21일 저녁 예비대가 남완루구 골짜기로 추격해 올라갔다. 천보산에 있던 이이노[飯野] 대대는 서남쪽으로 우회하여 와집구에 들어선 후 길을 잘못 선택하여 21일 저녁에 남양촌에서 숙영한 후 22일 새벽에야 북완루구를 따라 홍범도의 연합 부대를 추격하였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홍범도의 연합 부대는 19일 결의한 피전책을 버리고 남북 두 갈래로 덮쳐드는 일본군과 천리봉 기슭에서 격전을 벌였는데 이것이 완루구 전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