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두희

한자 朴斗熙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신흥 무관 학교 교관|성동사관학교 교관|신민부 보안사령관
출생 시기/일시 미상
활동 시기/일시 1911년
활동 시기/일시 1925년
활동 시기/일시 1925년
출생지 미상
활동지 길림성 유하현
활동지 흑룡강성 목릉현
활동지 영안현 영안성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에서 무장 독립 투쟁을 한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박두희는 1911년 중국길림성(吉林省) 류하현(柳河縣) 삼원보(三源堡)에 설립된 신흥 무관 학교의 교관을 지냈다. 이 신흥 무관 학교신흥 강습소(新興講習所)와 신흥 중학교의 전신으로, 유수한 애국 청년들을 배출한 학교이다. 박두희는 신흥 중학교 시절 졸업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모교가 신흥 무관 학교로 개명하게 되었을 때 성준용·백종렬(白鍾烈)·오상세(吳祥世)·원병상(元秉常) 등과 함께 교관으로 부임하여 교육 활동에 헌신하였다. 특히 군사 교육 및 민족정신 함양에 힘썼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박두희성동 사관 학교에서도 교관으로 활동하였다. 성동 사관 학교는 목릉현 소추풍(穆陵縣小秋風)에 설립된 학교로 속성 교육을 통하여 독립군을 양성한 기관이었다.박두희백종렬, 오상세 외 5인과 함께 교관으로 부임, 청년들을 훈련하는 데 힘썼다.

박두희는 당시 신민부(新民府)에 참여했는데, 1925년 3월 15일 창립 총회를 통하여 보안 사령관 및 중앙 집행위원으로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박두희는 대한 독립군단 대표로서 김좌진, 남성극, 최호, 유현 등과 함께 참가하였다. 또 신민부 창립 초기 소련에 교섭 사절을 파견하기도 하였는데, 박두희는 최학산 등과 함께 파견되었다. 박두희는 공산당 극동 본부가 있던 블라디보스토크에 파견되었다. 이후의 행적이나 사망 시기는 전해지지 않는다.

참고문헌
  • 김승학, 『한국독립사』(독립문화사, 1965)
  • 『독립운동사』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 조동걸,『독립군전투사』, 우사조동걸 전집 7권 (역사공간, 2011)
  • 이현희, 「신흥 무관 학교 연구」(『동양학』19,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0)
  • 서중석, 「후기 신흥 무관 학교」(『역사학보』169, 역사학회, 2001)
  • 김병기, 「신흥 무관 학교와 만주독립군」(『사학지』43, 단국사학회, 2011)
  • 한시준, 「신흥 무관 학교와 한국독립운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4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1)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