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장령

한자 李章寧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통화시 유하현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신흥강습소 교관|군정부 참모장|청산리 전투|신민부 참의원|한국독립당 감찰위원장
출생 시기/일시 1881년 5월 20일
수학 시기/일시 1899년
활동 시기/일시 1900년
활동 시기/일시 1903년
활동 시기/일시 1908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활동 시기/일시 1921년
활동 시기/일시 1922년
활동 시기/일시 1924년
활동 시기/일시 1925년
활동 시기/일시 1930년
몰년 시기/일시 1932년
추모 시기/일시 1963년
관련 사건 시기/일시 1920년
출생지 충청남도 천안군 목천면 남화리
거주|이주지 유하현 삼원보
학교|수학지 서울
활동지 통화현(通化縣) 합니하반(哈泥河畔)
활동지 길림성 왕청현
활동지 만주 화룡현 청산리
활동지 만주 환인현 마권자(馬圈子)
활동지 영안현
활동지 영안현 영안성
활동지 연변 위하현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에서 무장 독립 투쟁을 한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이장령은 1881년 5월 20일 충청남도 천안군 목천면 남화리에서 태어났다. 육군 무관 학교 3기생으로 졸업하여 1900년 육군 참위가 되었고, 1903년 부위(副尉)가 되었다. 1907년 한국 군대가 강제 해산되자 1907년 11월 20일 중국유하현 삼원보로 망명하였다.

국내에서 이상룡(李相龍)·이동녕(李東寧)·이철영(李哲榮)·이회영(李會榮)·이시영(李始榮)·윤기섭(尹琦燮)·김동삼(金東三)·김창환(金昌煥)·주진수(朱鎭洙)·이광(李光) 등이 망명을 해오자 이장령은 그들과 힘을 합쳐 독립운동을 위한 기지 건설에 힘썼다. 한편, 신흥 강습소 창설에 가담하여 교관을 맡아 군사 훈련 및 민족 운동에 전념하였다.

1919년 서일(徐一)을 중심으로 군정부(軍政府)가 조직되자, 이장령은 이에 가담하여 참모장으로 부임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체코군으로부터 무기를 구입하여 독립군의 전투력을 높였다. 그리고 사관 양성소(士官養成所)가 설립되자 교관이 되어 이범석(李範奭)·김규식(金奎植)·김홍국(金洪國)·최상훈(崔尙勳)과 함께 독립군을 양성하였다.

이장령은 1920년 청산리 전투에 참전하였다. 이후 1922년 대한 통의부(大韓統義府)가 조직되자 참모로 활약하였다. 1924년 3월 현천묵(玄天默)·나중소(羅仲昭) 등이 대한 독립 군정서를 조직하자 이장령은 조성환(曺成煥)·김규식 등과 함께 참모로 활약하였다. 그해 7월 길림(吉林)에서 전만 통일 의회 주비회(全滿統一議會籌備會)가 개최되자 윤각(尹覺)과 함께 대한 독립단 대표로 참가하여 회의의 주비회장으로 추대되었고, 1925년 신민부(新民府)가 설립되었을 때 참의원에 선임되었다.

이장령은 1930년 7월 홍진(洪震)·지청천 등과 함께 한국 독립당을 조직하고 감찰위원장에 임명되었으며, 한중 연합군을 조직하여 무장 항일 운동을 전개하였다. 김좌진이 살해당한 후 1931년 상해로 독립운동 근거지를 옮기려고 하였으나, 1932년 1월 24일 일제의 사주를 받은 마적에게 가족과 함께 피살당했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 『독립운동사』, 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 김정명, 『조선독립운동』(국학자료원, 1980)
  • 김후경,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광복출판사, 1983)
  •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