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韓震 |
|---|---|
| 분야 |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
| 유형 | 인물/의병·독립운동가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 성격 | 독립운동가 |
|---|---|
| 성별 | 남 |
| 대표경력 | 조선청년전위동맹|조선 의용대|조선 의용군 화북지대 정치지도원 |
| 출생 시기/일시 | 1915년 |
| 수학 시기/일시 | 1937년 12월 |
| 수학 시기/일시 | 1938년 5월 |
| 활동 시기/일시 | 1938년 10월 |
| 활동 시기/일시 | 1941년 |
| 활동 시기/일시 | 1942년 7월 |
| 몰년 시기/일시 | 1943년 12월 |
| 추모 시기/일시 | 2001년 |
| 출생지 | 경기도 |
| 거주|이주지 | 일본동경 |
| 거주|이주지 | 중국 만주 |
| 학교|수학지 | 강서성 여산록(廬山麓) 파양호반(播陽湖畔) |
| 활동지 | 동경(東京) |
| 활동지 | 호북성 무한 |
| 활동지 | 호북성 무한 |
| 활동지 | 산시 성(山西省) 타이항 산(太行山) |
일제 강점기 만주 지역에서 무장 투쟁을 한 독립운동가.
한진은 경기도 사람으로 1915년 출생하였다. 이명은 호철명(胡哲明)이다. 1935년 일본동경(東京)에서 공인(工人)으로 지내다가 애국단(愛國團)에 참가하였다. 그후 중국에 망명하여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1937년 12월 중앙 육군 군관 학교(中央陸軍軍官學校) 성자(星子) 강릉 분교(江陵分校)에 입학하여 1938년 5월에 졸업하였다.
한진은 1938년 6월 김학무(金學武) 등이 조선 민족 혁명당 간부진의 관내(關內) 안주노선(安住路線)에 반발하여 탈당하여 한구(漢口)에서 1938년 9월 조선 청년 전위 동맹(朝鮮靑年前衛同盟)을 결성하자 이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1938년 10월 무한(武漢)에서 조선 의용대(朝鮮義勇隊)가 결성되자, 조선 청년 전위 동맹 소속원들과 함께 제2구대 제2분대 부분대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조선 의용대 제2구대는 제1전구와 제5전구에서 나뉘어 활동하였는데, 그가 소속된 제5전구는 호북성(湖北省) 북부, 하남성 남부, 안휘성 서부 등지를 관할하였다. 이에 따라 한진은 호북성 중국군 제5전구 최전방에서 항일 선전활동에 종사하였다. 또한 신사군(新四軍) 대흥산(大興山) 정진종대(挺進縱隊)와 연계하여 조선 의용대 내에 중국 공산당(中國共産黨) 지부를 건립하고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1941년 이후 조선 의용대가 화북(華北)팔로군(八路軍) 지역으로 이동하자, 한진은 조선 의용대 제1지대 제1전구 사령부 정치조리원(政治助理員)으로 활동하였다. 1942년 7월 이후에는 조선 의용군(朝鮮義勇軍) 화북 지대(華北支隊) 제3대인 진기예부대(晉冀豫部隊) 정치지도원으로 태항산구(太行山區)에서 대원 60여 명을 거느리고 전투에 참여하였다가 부상을 입었으며, 1943년 12월 파상풍으로 사망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200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