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열

한자 李時說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대동 청년당|동창 학교 교사|한족회|『한족신보(韓族新報)』주필|서로 군정서|『효월신문(曉月新聞)』사장|광한단(光韓團, 일명 義興團) 단장|국민부(國民府)|조선혁명당 중앙 집행 위원 겸 교육부장|조선 혁명군|양세봉|조선 혁명군|신빈전투|동창대전투
출생 시기/일시 1892년 2월 25일
활동 시기/일시 1909년
활동 시기/일시 1910년
활동 시기/일시 1911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활동 시기/일시 1920년 2월
활동 시기/일시 1929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31년
활동 시기/일시 1932년 2월
활동 시기/일시 1933년 3월 11일
활동 시기/일시 1933년 8월
몰년 시기/일시 1980년 11월 18일
추모 시기/일시 1963년
추모 시기/일시 1991년
출생지 평안북도 정주군 고안면 안흥리
거주|이주지 만주 봉천성(奉天省) 환인현(桓仁縣)
활동지 평안북도
활동지 봉천성 환인현
활동지 유하현 (柳河縣) 삼원보 (三源堡)
활동지 관전현(寬甸縣) 향로구(香爐溝)
활동지 요령성(遼寧省) 신빈현(新賓縣) 흥경(興京)
활동지 요령성 신빈
활동지 요령성 신빈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 지역에서 무장 독립 투쟁을 한 독립운동가.

활동 사항

이시열평안북도 정주군(定州郡) 고안(高安)면 안흥(安興)리에서 1892년 태어났다. 호는 운허(耘虛), 이명은 학수(學洙)이다. 이시열은 1909년 이원식(李元植)·안희제(安熙濟)·윤세복(尹世復)·남형우(南亨祐)·김동삼(金東三)·배천택(裵天澤) 등과 함께 신민회 계열 비밀 청년 단체인 대동 청년당(大東靑年黨)을 조직, 활동하였다.

이후 이시열은 1911년 5월 윤세복, 이원식 등과 함께 만주로 망명, 봉천성 환인현(奉天省 桓仁縣)에 동창 학교(東昌學校)를 설립하고 교사로서 한인 학생들의 교육으로 민족 운동에 힘썼다. 1919년 한족회(韓族會) 창립에 가담하였으며, 기관지인 『한족 신보(韓族新報)』의 주필로 활동했다. 서로 군정서(西路軍政署)가 창설될 때에도 참가하였다. 1920년부터는 교포 신문인 『효월 신문(曉月新聞)』의 사장으로 취임하기도 하였다. 1920년 2월 현정경(玄正卿)·현익철(玄益哲)·장명환(張明煥)·김관성(金觀聲) 등과 함께 독립군 단체인 광한단(光韓團)[일명 의흥단(義興團)]을 조직, 그 단장에 선임되었다.

1929년 3월 이시열국민부(國民府)가 조직될 때 간부로 참여했으며, 1931년에 조선 혁명당(朝鮮革命黨)이 조직될 때에는 중앙 집행위원 겸 교육부장을 맡았고, 조선 혁명당의 군사조직인 조선 혁명군(朝鮮革命軍)의 간부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1932년 3월에는 양세봉(梁世奉)이 지휘하는 조선 혁명군이 만주인 의용군 이춘륜(李春潤) 등과 합작하여 한중 연합군(韓中聯合軍)을 편성, 일본군과 전투를 벌인 신빈(新賓) 전투에 참전하였다.

이시열은 1933년 3월 11일 조선 혁명군 사령관이 지휘하는 한중 연합군의 흥경성(興京城) 점령에 참전하여 저항하는 일본군을 대파했다. 1933년 8월에는 조선 혁명군이 일본군 대부대와 조우하여 대혈전을 벌인 동창대(東昌臺) 전투에 참전하였다.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승려가 되었으며 1980년 남양주봉선사에서 입적하였다.

상훈과 추모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63년에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고,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 장세윤, 「재만 조선혁명당의 성립과 주요구성원의 성격」(『한국독립운동사연구』10,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6)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