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훈

한자 安勛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배달(倍達)청년회|한국 독립당 선전위원|낙양(落陽) 군관학교 교관|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민족 혁명당|조선혁명당 상무위원|광복진선(光復陣線) 선전위원회 위원|임시의정원 충청도 의원|한국 광복군총사령부 주계장(主計長), 제2지대 정훈조장(政訓組長)|제6대 국회의원|독립유공자협회장
출생 시기/일시 1900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활동 시기/일시 1930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활동 시기/일시 1933년
활동 시기/일시 1936년
활동 시기/일시 1939년 10월
활동 시기/일시 1940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40년 9월
활동 시기/일시 1940년 11월
활동 시기/일시 1944년 4월
활동 시기/일시 1963년
활동 시기/일시 1981년
몰년 시기/일시 1993년
추모 시기/일시 1962년
출생지 전라남도 승주
거주|이주지 중국 만주
활동지 중국상해
활동지 하남성 낙양
활동지 상해
활동지 상해
활동지 귀주성 구이양
활동지 중경
활동지 중경
활동지 전라남도
묘소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 애국지사 묘역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

활동 사항

안훈은 전라남도 승주(昇州) 사람으로 1900년 7월 13일 태어났다. 이명으로 조경한(趙擎韓)·안일청(安一靑)·조종현(趙鍾鉉) 등을 썼으며, 호는 백강(白岡)이다. 1919년 만주로 망명한 안훈은 독립단 배달(倍達) 청년회 등에 가입하여 활동했다고 전해진다.

안훈은 1930년 한국 독립당(韓國獨立黨)을 창립하는 데 참가하였고 선전위원으로 임명되어 조직 및 훈련의 책임을 맡아 활동하였다. 1932년 3월, 그는 이규보(李圭輔)·이종의(李鍾宜) 등과 함께 아성현 영발둔(阿城縣 永發屯)에 주둔하고 있던 중국군 사령관 고봉림(考鳳林)을 방문하여 연합 작전을 펴기로 하였다. 중국군 부대와 공동으로 전투를 벌였으나 독립군은 수세에 몰리게 되었다. 이에 독립군에서는 안훈김창환 등을 북만주 지역에 파견하여 추가 병력을 모집하게 하였다.

1933년 5월 낙양(落陽) 군관 학교에 특별반이 개설되어 독립군 간부를 양성하게 되었는데, 안훈은 오광선(吳光善)과 함께 이 학교의 교관으로 임명되어 간부 양성에 힘썼다. 1933년 겨울에는 한국 독립당, 조선 혁명당, 의열단, 한국 혁명당이 통합, 한국 대일 전선 통일 동맹(韓國對日戰線統一同盟)을 조직하였는데 안훈윤기섭·이청천 등과 한국 혁명당의 대표로서 통합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이 동맹이 민족 혁명당으로 발전하게 되는데, 안훈은 조직부 소속으로 활약하였다. 1936년 민족 혁명당이 개칭된 조선 혁명당에서 상무위원 겸 조직부장으로 활동했다. 1937년에는 김구(金九)·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조소앙(趙素昻) 등이 함께 조직한 광복진선(光復陣線)에서 선전위원회 위원에 선임되기도 하였다.

이후 1939년 10월에는 임시 의정원충청도 의원에 선출, 1944년까지 활동하였다. 또 1940년 5월 창립된 한국 독립당에 참가하였고, 같은 해 9월에는 한국 광복군(韓國光復軍)의 창설에도 참가하였다. 안훈은 한국 광복군 창설시 총사령부 주계장(主計長)으로 임명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11월에는 총무처장 대리로 활약하기도 하였다.

1941년 12월에는 중국 국민당이 경영하는 전시 간부 훈련단(戰時幹部訓練團)에 광복군 장교 훈련소가 설치되었는데 안훈은 송호성(宋虎聲)·나월환(羅月煥) 등과 훈련 책임을 맡았다. 1942년 10월에는 한국 광복군 제2지대 정훈조장(政訓組長)에 임명되어 활약하였다. 1944년 2월에는 국무 위원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3월 20일 국무 위원회 부비서장에 임명되었다. 1944년 10월, 국내 진입을 위해 조직된 국내 공작 위원회에 조성환·성주식(成周寔)·김약산(金若山) 등과 함께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광복 후 안훈은 1963년 제6대 국회 의원에 선출되기도 하였으며, 1981년에는 독립 유공자 협회장을 역임하였다. 1993년 1월 17일 별세하였다.

묘소

동작동 국립 현충원 애국 지사 묘역에 안장되었다.

상훈과 추모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참고문헌
  • 채근식, 『무장독립운동비사(武裝獨立運動祕史)』(대한민국공보처, 1949)
  • 김승학, 『한국독립사』(독립문화사, 1966)
  • 『독립운동사』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 장세윤, 「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 투쟁연구」(『한국독립운동사연구』3, 독립기념관 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 한시준, 『한국광복군연구』(일조각, 1993)
  • 『대한민국 독립유공 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 양성우, 「백강, 조경한; 항일투쟁의 살아있는 거목」(『마당』40, 1984)
  • 김광재, 「조경한과 중국관내지역 독립운동(1933~1945)」(『남도문화연구』13, 2007)
  • 장세윤, 「백강 조경한의 생애와 만주지역 독립운동」(『남도문화연구』14, 2008)
  • 한홍구, 『한홍구와 함께 걷다』,(검둥소, 2009)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