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철훈

한자 金哲勳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권업회|대한 국민 의회 부의장|이르쿠츠크파 고려 공산당 중앙위원| 대한군민부 외교부장|조선 공산당 만주총국 위원
활동 시기/일시 1911년
활동 시기/일시 1918년 1월
활동 시기/일시 1919년 3월
활동 시기/일시 1919년 8월
활동 시기/일시 1921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23년 8월
활동 시기/일시 1924년 7월
활동 시기/일시 1926년 5월
활동 시기/일시 1933년
몰년 시기/일시 1938년 10월 10일
추모 시기/일시 2006년
출생지 함경북도 명천
활동지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활동지 러시아이르크츠크
활동지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활동지 러시아이르크츠크
활동지 러시아이르크츠크
활동지 길림성 안도현
활동지 길림성 하얼빈시
활동지 러시아하바로프스크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와 러시아연해주 지역에서 활동한 공산주의 독립운동가.

개설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 결성을 주도한 11인 중 1명이다.

활동 사항

김철훈은 함경북도 명천 출신으로 일찍이 1911년 러시아 지역에서 권업회(勸業會), 한민 학교(韓民學校) 교사 등으로 활동하였다. 1918년 1월 이르쿠츠크 러시아 공산당 한인 지부를 설립하고 위원장이 되었다. 이 단체는 볼셰비키 혁명 후 시베리아 한인 사회의 공산주의 조직 가운데 러시아 공산당의 민족별 별동 조직으로 공식화된 것으로, 이르크츠크 서부 지방의 귀화 한인 사회를 기반으로 조직되었다.

1919년 8월 이동휘(李東輝)에 의하여 한인 사회당의 근거지가 상해로 이동되자, 같은 해 9월 초 김철훈은 이르쿠츠크 러시아 공산당 한인 지부를 ‘전러 한인 공산당’으로 확대, 발전시켰다. 그리고 시베리아 혁명의 유력자 스미야스키를 고문으로 추대, 자신은 위원장이 되었다.

김철훈은 1919년 3월 대한 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의 부의장으로 활동하였다. 같은 해 3월 17일에는 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관에 3·1 운동과 관련하여 한글로 된 선언서와 러시아어로 된 선언서를 전달하는 한편, 민족의 독립의식을 고취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4월 29일에는 신한촌의 한민 학교에서 개최된 회의에서 최재형(崔在享), 문창범(文昌範) 등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승인 문제를 토의하였다. 이 시기에 김철훈은 이전부터 권업회 연론부장(演論部長), 한민 학교 조선어 교사, 『한민 신보(韓民新報)』의 심사부장 등으로 활동하면서 한인 사회의 각지를 순회하며 교민 사회의 단결을 호소하였다.

1921년 5월 김철훈은 이르크츠크파 고려 공산당의 조직에 참여하여 중앙 위원에 선임되었다. 이 시기 일제도 김철훈을 하바로프스크, 블라고베스첸스크, 치타, 이르크츠크, 옴스크, 모스크바 등 중요 도시를 내왕하며 선전 사무에 관계하고 있는 중요인물로 파악하고 있었다. 1923년 8월 코민테른 동양비서부 고려부 비서, 1924년 3월 오르그뷰로(고려 공산당 창립대회준비위원회) 위원으로 선임되었으며 4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고려 공산당 책임자회의에서 고려 공산당 창립대회 준비위원이 되었다. 1924년 7월에는 안도(安圖)에서 조직된 대한 군민부(大韓軍民府)의 외교부장으로 활동하였다. 무장단 병력은 약 100명에 달하였으며, 간도와 조선의 국경 지대에서 모연(募捐)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6년 5월 하얼빈에서 조선 공산당 만주 총국의 결성에 참여하고 위원에 선임되었다.

김철훈은 1925년 4월 경성에서 조선 공산당이 조직된 후, 동당의 만주 지부의 필요에 따라 만주에 파견된 최원택(崔元澤)조봉암(曺奉岩)을 위시하여, 일면파에서 김하구(金河球), 윤자영(尹慈英) 등과 함께 1926년 5월 조공 만주 총국의 조직을 결성하였다. 1933년 하바로프스크 공산주의 고등 전문 학교를 졸업하는 등 사회주의 운동에 진력하던 김철훈은 1938년 10월 9일 알마아타주 내무인민위원부 산하 3인 위원회가 일본 조사 기관과 협력하였다는 죄목으로 총살형을 선고하여 10월 10일에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6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김준엽·김창순, 『한국 공산 주의 운동사(韓國 共産 主義 運動史)』1권 (고려 대학교 아세아 문제 연구소, 1967)
  • 강만길·성대경 편, 『한국 사회주의 운동 인명 사전』(창작과 비평사, 1996)
  • 상지시 조선 민족사 편집 위원회, 『상지시 조선 민족사』민족 출판사, 2009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