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풀이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마을 의례
의례시기/일시 정월 대보름
신당/신체 성주상
정의

중국 동북3성의 한인 사회에서 정월 대보름에 성주신을 모시고 행하는 의례.

개설

성주굿은 가신에 대한 의례이자 놀이로 집집마다 거하는 성주신을 가무로 즐겁게 모셔 집 안에 복을 내려줄 것을 기원하는 것이다.

절차

정월 대보름날 밤에 마을 사람들로 이루어진 풍장패가 동네를 돌면서 집집마다 찾아다닌다. 풍장패가 집 마당에 이르면 집주인은 쌀을 담은 그릇 위에다가 접시에 기름을 담고 심지를 꽂아 만든 등잔을 올려 불을 켜고 성주상을 마련한다.

상이 차려지면 성주상 앞에서 풍장패의 상쇠가 ‘축원가’라는 노래를 부른다. 그 내용은 성주신에게 풍작과 평안을 기원하는 것이다. 풍장패는 노래에 맞추어 성주상을 들러싸고 한바탕 판굿을 벌이다가 다음 집으로 옮겨 간다. 마당에 놓았던 성주상의 쌀은 풍장패가 걷어다가 마을 공용의 자금으로 활용한다.

현황

성주 풀이는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안도현(安圖縣) 장흥향(長興鄕) 신둔(新屯)에서 수십 년 간 이어져 오고 있다.

참고문헌
  • 『중국 길림성 한인 동포의 생활문화』(국립 민속 박물관, 1996)
  • 박창묵 등, 『중국 조선 민족 문화사 대계·민속사』(중국 민족 출판사, 2000)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