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하 국경교

한자 圈河 國境橋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경신진 권하 통상구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국경 대교
길이 577m
차선 왕복 4차선
25m
준공 시기/일시 1937년
증설|폐설 시기/일시 2010년 6월 1일
해당 지역 경유 구간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경신진 권하 통상구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혼춘시(琿春市) 경신진(敬信鎭)권하 통상구와 북한나선시 원정리를 연결하는 다리.

개설

1937년 일제 강점기에 개설된 교량으로 두만강 하류에 있는 북한과 중국을 잇는 중국 동쪽 끝의 국경 다리이다. 권하교(圈河橋)라고도 하며 공식 명칭은 권하-원정 국경교이다.

변천

북한나선시 원정리와 중국혼춘시 경신진권하 통상구[圈河口岸]를 연결하는 권하교는 2010년 6월 1일 새롭게 건설되었다. 권하교는 기존 위치의 상류 50m 지점에 총 길이 577m, 폭 25m, 왕복 4차선 대교로 완공되었다. 완공 이전 연간 60만 톤의 화물 통관량은 완공 후 100~120만 톤으로 증가하였다.

2010년 3월 17일자 『연변 정보항』은 북한과 중국이 두만강권하교의 전면 보수 공사에 돌입했다고 보도했다. 혼춘시와 나선시가 협상을 통해 300만 위안[약 5억 2천만 원] 이상을 투입하였고, 3월 15일에 공사를 시작하여 6월 30일에 완공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일본『니혼게이자이 신문』은 이와 관련하여 보수 공사 비용 약 400만 위안[약 7억 원]을 모두 중국 측이 부담하기로 하여 사실상 북한에 대한 경제 지원이라고 평했다.

현황

북한과 중국이 권하교 보수 공사에 돌입함에 따라 권하교-나진항을 연결하는 북한 내 도로 보수 공사도 조만간 착공될 전망이다. 중국이 10년간 사용권을 확보한 나진항[제1부두]도 권하교-선봉[웅기]-나진항 54㎞의 도로가 보수되지 않으면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중국은 나진항 사용권을 얻은 데 이어 권하교와 북한 내 도로 보수 공사에 들어감으로써 실제적으로 동해 출해권(出海權)을 확보하게 되었다. 석탄 등 동북 3성의 자원을 나진항을 거쳐 상해를 중심으로 한 창장 삼각주 지역으로 운송한다는 중국의 목표가 실행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나진항을 통해 그동안 북한과 러시아에 막혀 있던 동해로 진출해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세였던 동해에서 전략적 교두보를 확보한다는 데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 디시 뉴스(http://www.dcnews.in/news_list.php?code=society&id=520115)
  • 百度百科(www.baike.baidu.com)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