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준

한자 呂準
분야 역사/근현대|성씨·인물/근현대 인물
유형 인물/의병·독립운동가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독립운동가
성별
대표경력 신흥무관학교 교장
출생 시기/일시 1862
활동 시기/일시 1906년
활동 시기/일시 1913년
활동 시기/일시 1918년
활동 시기/일시 1919년
몰년 시기/일시 1932년
추모 시기/일시 1968년
출생지 경기도 용인
활동지 북간도 용정
활동지 죽산군 원삼면 죽릉리
활동지 길림성 통화현
활동지 통화현 합니하
활동지 유하현 삼원보
활동지 액목현 황지강자
활동지 상해
학교터 용인시 처인구 원산면 죽릉리
정의

일제 강점기 만주 용정에서 서전 서숙·오산 학교·신흥 무관 학교의 숙장·교사·교장으로서 독립군 간부 양성과 청산리 전투를 이끈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

개설

여준(呂準)은 국내에서 교육 활동에 종사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찍이 만주로 망명하여 민족 교육을 통한 독립군 양성에 남다른 관심을 기울였다. 서전 서숙 설립과 신흥 무관 학교 교장으로의 활동이 이를 방증한다. 특히 한인 2세에 대한 민족 교육은 청산리 전투를 비롯한 항일 무장 투쟁을 견인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가계

여준은 1862년 경기도 죽산군 원삼면 죽릉리[현 용인시 처인구 원산면 죽릉리]에서 출생하였다. 호는 시당(時堂), 이명은 조현(祖鉉)·성현(聲鉉) 등이다.

활동 사항

1906년 이상설(李相卨)·정순만(鄭淳萬)·이동녕(李東寧)·박정서(朴禎瑞) 등과 북간도 용정에 서전 서숙을 설립하여 항일 민족 교육을 실시하였다. 1907년 4월에는 만국 평화 회의에 참가하는 밀사 이준(李儁)을 안내하였다. 이후 국내로 돌아와 비밀결사 신민회에 가입, 활동하였는데, 이승훈(李昇薰)이 설립한 오산 학교 교원으로 초빙되었다. 이후 1908년 고향인 죽산군 원삼면 죽릉리에 삼악 학교(三岳學校)를 세워 신교육을 통한 구국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1910년 국권 피탈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국내에서 활동이 어렵게 되자 가족을 이끌고 서간도로 망명해 독립군 양성에 노력하였다.

1912년에 허혁(許赫)통화현부민단(扶民團)을 조직하여 이주 한인들의 권익 신장에 앞장섰다. 특히 그는 신흥 학교[신흥 무관 학교 전신] 유지·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이탁(李鐸) 등과 신흥 학교 유지회도 조직하는 등 독립군 양성에도 힘을 기울였다. 이듬해 그는 1913년 신흥학교 교장으로서 교감 윤기섭(尹琦燮), 학감 이광조(李光祖) 등과 교육 내실화에 전념했다. 1918년 봄에는 박찬익(朴贊翊)·정신(鄭信)·유동열(柳東說)·신팔균(申八均)·김동삼(金東三)·김좌진(金左鎭)·서일(徐一) 등 39인이 서명한 「무오 독립 선언서」 발표에 가담하였다.

1919년 3월에는 박찬익 등과 함께 길림에서 군사 독판부를 조직하여 단장으로서 대일 항쟁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이후 서로 군정서 부독판으로서 독판 이상룡(李相龍)과 함께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1920년 12월 4일에는 임시 정부 간서 총판부(總辦府)를 설치하고 총판에 선임되었다. 1921년 5월에는 이탁(李卓)·김동삼 등과 임시 정부 개조를 요구하는 성명서를 임시 정부 측에 송부하였다. 1922년 액목현 황지강자에 검성 중학(儉成中學)을 설립하여 교장으로서 인재 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1930년 1월에는 상해로 가서 김구·이동녕(李東寧)·이탁(李拓) 등과 한국 독립당을 재결성하여 강력한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1931년 여준은 일제가 만주 침략 당시 일본군과 싸우다가 후퇴하는 중국군에게 모진 매를 맞고, 장백산록(長白山麓)에서 요양하던 중 숨졌다.

상훈과 추모

정부에서는 여준의 공훈을 기리어 1968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으며, 국가 보훈처는 2012년 7월 그를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한 바 있다. 2012년 10월에는 용인 항일독립운동 기념사업회가 주최하고 용인시·신흥 무관 학교 기념사업회가 후원하여 여준이 설립했던 삼악 학교의 옛터에 표지석을 설치하였다.

참고문헌
  • 문일민,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 金正明 편,『朝鮮獨立運動』Ⅲ( 原書房, 1967)
  • 김승학, 『한국독립사』(독립동지회, 1983)
  • 『대한민국 독립유공자 공훈록』 4권 (국가보훈처,1987)
  • 『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1991)
  • 「 3·1 운동 직후 무장 투쟁과 외교활동」 (『한국독립운동의 역사』22, 독립기념관, 2009)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