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大覺寺 |
|---|---|
| 분야 | 역사/근현대|종교/불교 |
| 유형 | 기관 단체/사찰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사찰 |
|---|---|
| 창건자 | 백용성 |
| 건립 시기/일시 | 1927년 3월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27년 9월 11일 |
| 최초 건립지 | 서울 봉익동 |
| 현 소재지 | 만주 용정 |
1927년 3월 백용성이 불교 혁신 운동을 목적으로 길림성 용정(龍井)에 세운 대각교(大覺敎)의 포교당.
1919년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불교계를 대표하여 한용운과 함께 참여하였던 백용성은 출옥 이후 삼장역회(三藏譯會)를 만들어 저술사업에 몰두하였다. 1925년에는 서울대각사에 대각교(大覺敎)를 창립하여 새로운 불교 운동과 국민 계몽 운동을 시작하였다. 그 뒤 만주 용정(龍井)으로 건너가 화과원(華果院)을 경영하는 한편, 그곳에 대각교당(大覺敎堂)을 건립하고 선사상을 포교하는 등 선농 일치 운동(禪農一致運動)을 전개하였다. 백용성의 대각교 운동은 인식의 전환을 통해 개개인의 운명과 시대를 새롭게 자각하자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대각사 교인 수는 3백여 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