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三義士 事件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 지역 | 흑룡강성 하얼빈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독립 당원이 일본군과 총격전을 벌이면서 순국한 사건 |
|---|---|
| 관련인물/단체 | 김만수, 유기동, 최병호 |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24년 4월 7일 |
| 발생|시작 장소 | 흑룡강성 하얼빈 |
1924년 하얼빈에서 독립 당원 3명이 일본군과 총격전을 벌이다가 순국한 사건.
하얼빈은 안중근이 이등박문[이토 히로부미]을 척살한 지역이기 때문에 일제는 한인 독립군들의 활약을 경계하였다. 이에 반해 독립군들은 활동 영역을 북만 지역으로 확대하고자 하얼빈을 거점으로 삼았다. 그런 만큼 하얼빈 일본 총영사관의 무장 경찰들은 독립운동가를 체포하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다.
삼의사 사건은 국내의 『조선 일보』와 하얼빈『빈강 일보』에 게재되어 한인 사회와 국내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를 ‘하얼빈 일본 영사관 의거’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