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北一 學校 |
|---|---|
| 분야 | 역사/근현대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 성격 | 민족 교육 기관 |
|---|---|
| 설립자 | 이동휘, 양하구 |
| 개교 시기/일시 | 1917년 |
| 폐교 시기/일시 | 1920년 |
| 최초 설립지 | 훈춘현 대황구 |
| 현 소재지 | 훈춘시 대황구 |
1917년 1월 이동휘 등이 훈춘현 대황구에 설립한 민족 교육 기관.
북일 학교 개교 초기에는 이동휘를 따르며 간민회·동제회·결사대·동림 무관 학교 등에서 활동하던 30대 인사들이 교원을 맡았다. 이들이 이동휘를 따라 연해주로 떠난 뒤에는 훈춘 또는 대황구 출신들이 교원으로 충원되면서 훈춘 지역 독립운동을 주도해 나갔다. 북일 학교에서는 교육 취지에 따라 한국어·한국사·한국 지리·영어·러시아어·군사·체육·수학·물리·화학 등 12개 과목을 강의하였다.
북일 학교 구성원들은 1919년 용정 3·13 운동을 주도하였고, 이후 훈춘 일본 영사분관을 공격할 계획을 세우는 등 무장 투쟁으로 전환해 갔다. 그 결과 교원과 학생들은 훈춘 군무부, 철혈 광복단, 한민회, 최진동의 대한 독군부,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 등 북간도 독립군 단체에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개교 초기 북일 학교는 학생 수 20여 명 정도였으며, 지속해서 학생 수가 증가하여 1918년에는 200여 명이 졸업하였다. 1920년 재학생이 300여 명일 정도의 규모로 확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