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 독립 신문』

한자 大韓 獨立 新聞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문헌/연속 간행물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간도 국민회의 기관지
관련인물 구춘선, 이익찬, 윤준희, 방달성, 마틴
창간 시기/일시 1919년
정의

1919년 3·1 운동 직후 북간도의 간도 국민회가 발간한 기관지.

개설

간도 국민회는 1919년 3·1 운동 직후에 북간도 지역 한인 대표들이 발기한 독립운동 단체로서, 무장 투쟁과 다른 한편으로는 자치 운동의 성격을 띠었다. 일제가 당시 조직된 반일 단체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는 조직으로 평가할 만큼 규모가 컸다. 간도 국민회는 더욱 체계적으로 간도 한인들에게 간도 국민회의 활동을 알리고자 주간지 『대한 독립 신문』을 발행하였다.

창간 경위

『대한 독립 신문』은 구춘선(具春先)과 이익찬(李翼燦)·윤준희(尹俊熙)·방원성(方遠聲) 등이 영국인 마틴이 경영하는 제창 병원(濟昌病院) 지하실에서 비밀리에 등사판으로 발행되었다.

형태

『대한 독립 신문』은 타블로이드판보다 작았으며, 등사로 인쇄하였다.

구성/내용

신문 성격이 독립운동을 내외에 홍보하는 데 있었에 동포 사회에 관한 내용이 많다. 오늘날 외신란에 해당되는 ‘내외 전서 구(內外傳書鳩)’라는 고정란에서는 해외 여러 곳에 있는 독립 지사들의 활동 상황과 외신을 보도했다.

변천과 현황

다른 자료에 따르면, 1920년 2월 한국 독립운동을 널리 알릴 목적에서 본부는 연길현(延吉縣) 옹성랍자(甕聲磖子)에 두고 김정과 고동환이 발간 업무를 담당했고, 1920년 6월까지 발행되었다고 한다.

의의와 평가

『대한 독립 신문』은 간도 국민회 활동을 극대화하기 위해 발행한 선전 홍보용 기관지로 역할을 담당했다.

참고문헌
  • 장우권 외, 『재외한인 문헌정보자원과 실제』(집문당, 2005)
  • 「不逞 鮮人 獨立 運動 現況에 관한 건」(『불령단 관계 잡건-조선인의 부-재만주의 부(14)』(1920. 2. 6)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