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지 결사대

한자 斷指 決死隊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반일 무장 단체
설립자 황용기
설립 시기/일시 1919년
해체 시기/일시 1920년
최초 설립지 안도현
정의

1919년 북간도 안도현에서 결성된 반일 무장 단체.

개설

단지 결사대는 1919년 3·1 운동 이후 안도현 지역에서 이시우(李時雨), 황용기(黃龍起) 등이 결성한 대한민국단지 결사대에서 비롯되었다. 단지 결사대는 독립 단지 결사대라는 명칭도 사용할 정도로 강한 항일 무장 투쟁을 견지하였다.

설립 목적

단지 결사대는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강력한 무장 투쟁을 독립운동의 방략으로 삼았다.

변천

단지 결사대는 1920년 총무부 부장 황용기 등 주요 간부들이 일제에 체포되면서 해체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단지 결사대에 입회하는 자는 무명지를 잘라 맹세하였고, 조선 독립사상을 고취하는 단지 결사대의 취지서를 제작하여 단원을 모집하였고, 군자금 모집 및 군량미 확보에 노력하면서 항일 무장 투쟁을 준비하였다. 정의단의 김정일 등과 연계하였으며, 대원 모집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현황

단지 결사대의 실질적인 지도자는 총무부장을 겸임한 황용기였다. 주요 간부로는 이시우, 박재화, 고태우, 김원서 등이 있었다. 부대원은 100명 이내로 파악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단지 결사대는 무장 투쟁을 독립운동 방략으로 삼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편집위원회, 『개척』(중국조선민족발자취총서(1), 민족출판사, 198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