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단

한자 救濟團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상세정보
성격 비밀 결사 단체
설립자 이춘심
설립 시기/일시 1919년
최초 설립지 중국 길림성 화룡시
정의

1919년 북간도 화룡현에서 조직된 학생 중심의 비밀 결사 단체.

개설

1919년 북간도 3·13 독립운동은 3·1 운동의 지역적 한계를 초월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크다. 특히 이 운동에서 학생과 교사, 즉 민족 교육 기관의 역할은 운동의 방향성을 결정할 만큼 중요하였다. 3·13 독립운동이 용정에서 개최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명동 중학교와 정동 중학교의 학생들은 ‘충렬대(忠烈隊)’를 조직하였으며, 도립 중학교의 한인 학생들은 ‘자위단(自衛團)’을 조직하여 대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임무를 맡았다. 화룡현에서는 이춘심이 주축이 되어 구제단을 조직하였다.

설립 목적

3·13 독립운동을 한인 사회에 적극 알리며, 친일파들을 처단하고, 지속적인 시위 운동과 무장 투쟁을 전개하기 위함이었다.

변천

구제단은 1920년 초에 해체되었다.

주요 사업과 업무(활동 사항)

구제단은 무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무기의 대부분은 체코·러시아제로 이들 단체는 무기 구입과 군자금 모집 등에서 큰 활약을 하였다. 또한 친일분자들에 대한 응징과 함께 식민지 정책의 핵심인 일본 간도 총영사관 및 그 외의 파출소에 대한 파괴를 목표로 하여 실행에 옮겼다.

현황

구제단 단장은 이춘심(李春心)이 맡았으며, 명동학교 학생들이 주축이었고, 군자금 모집에 전력하였다.

의의와 평가

구제단북간도의 대표적인 학생 중심 비밀 결사 단체로서 후일 무장 투쟁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

참고문헌
  • 金正明, 『朝鮮獨立運動』(原書房, 196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