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惠章 古墳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화향 혜장 3대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유적 |
|---|---|
| 양식 | 고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4년 |
| 소재지 | 화룡시 용화향 혜장 3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화향 혜장 3대에 있는 발해 시대의 고분.
혜장 고분 구역 남쪽 부분은 마을 주민들이 흙을 파가면서 형성된 높이 약 1.5m, 길이 약 30m에 달하는 단층이다. 단층에는 2기의 무덤이 드러나 있다. 이 무덤 2기는 지표에서 1.3m 깊이의 흑갈색 점토층에 있으며, 안에는 수많은 목탄·사람 뼈·도기편이 포함되어 있으나, 그 구조와 장식은 분명하지 않다.
혜장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은 비교적 풍부하며 재질에 따라서 도기·청동기·철기·장식품과 옥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기는 물레로 빚은 니질도(泥質陶)와 모래가 섞인 진흙을 손으로 빚어 만든 회갈색의 도기[협사회갈도(夾砂灰褐陶)] 두 종류가 있으며, 중순구연(重脣口沿) 단지 1점[잔편]이 있다.
청동기는 평면이 대략 방형으로 생긴 누공 대식(鏤孔帶飾), 새 모양의 대구(帶扣) 및 두 개의 둥근 쇠사슬 장식[쌍환련식(雙環鏈飾)] 등 모두 9점이다. 철기는 단지 1점으로 모양이 분명하지 않다. 장식품은 둥근 공 모양의 구멍 뚫린 마노주(瑪瑙珠) 여러 점이 있는데, 크기는 일정하지 않다. 옥고리[玉環] 2점 가운데 1점은 작은 잔편이다. 모두 납작하고 얇은 옅은 녹색이며, 정교하고 윤택하다. 지름은 1.7㎝, 구멍 지름은 2.8㎝, 두께는 0.3㎝이다.
1983년 마을 주민이 무덤 구역에서 청동 장식·철기 등의 유물을 습득하였다. 1984년 봄에 마을 주민이 흙을 파다가 또 손잡이가 두 개인 철솥 1점을 수습하였다. 쇠솥의 지름은 약 50㎝, 높이는 약 40㎝이고, 솥바닥에는 3개의 꼭지 모양의 다리가 있다. 이 솥은 이미 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