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평 유적

한자 草坪 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춘화진 초평촌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상세정보
성격 유적
양식 건축지
크기 동서 길이 약 50m, 남북 너비 약 80m
현 소재지 혼춘시 춘화향 초평촌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춘화향 초평촌에 있는 발해 시대의 건축 유적.

위치

초평 유적은 혼춘시 춘화향 초평촌에서 동쪽으로 1㎞ 떨어진 난가당자하(蘭家蹚子河) 동안 대지 위에 있다.

형태

초평 유적의 규모는 동서 길이 약 50m, 남북 너비 약 80m인 사방이 비교적 넓게 펼쳐진 평지이며, 서쪽 지면보다 약 2m 정도 높다. 유적지 안쪽에는 무덤 몇 기가 있다. 지면에는 기와편·도기편 등이 산재해 있으며, 건축 재료 중에서 와당·암키와·수키와·장방형의 도기 장식품 등은 모두 잔편이며, 완전한 것은 보이지 않는다.

현황

초평 유적은 2012년 현재, 대부분 농경지로 개간되었으며, 서북쪽 한 부분만 황무지이다.

의의와 평가

초평 유적의 출토 유물을 보면 비교적 규모가 큰 발해 시대의 건축지로 추정된다. 『혼춘현 문물지』에서는 부근에 위치한 성장립자 산성(城墻砬子山城)·영성자 고성(營城子古城)발해 고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 길림성 문물지 편찬 위원회, 『琿春縣文物志』1984
  • 김진광, 『북국 발해 탐험』(박문사, 20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