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青龍 古墳群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문향 용문향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유적 |
|---|---|
| 양식 | 고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79년 |
| 소재지 | 화룡시 용문향 용문향 청룡촌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문향 청룡촌에 있는 발해 시대의 고분군.
청룡 고분군은 화룡시 용문향 청룡촌(靑龍村)에서 서북으로 3.5㎞ 떨어진 산자락에 있다. 북쪽은 산들과 접해 있고, 남쪽으로 200m 떨어진 장인강(長仁江) 좌안 대지에는 발해 시대의 유적 1곳이 있다.
청룡 고분군은 1979년 5월 길림성 고고훈련반(吉林省考古訓練班)에서 남쪽 구역 무덤 1기를 발굴하였다. 무덤 형태는 장방형의 흙무지 돌방무덤[봉토 석실분]이다. 무덤 네 벽은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돌로 쌓았으나 비교적 반듯하다. 무덤칸은 길이 2.4m, 너비 약 0.8~1m, 높이 약 0.6m이다.
무덤 바닥은 인공으로 평평하게 다듬은 흔적이 있으나, 돌을 깔지 않았다. 무덤 천정은 모두 4장의 판석으로 덮었는데, 그 중에서 가장 큰 판석은 길이 약 1.5m, 너비 0.8~0.95m, 두께 약 0.3~0.4m이다.
청룡 고분군은 용문향에서 장인촌으로 통하는 도로에 의해서 남·북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북쪽 구역은 무덤이 비교적 많고 보존 상태가 좋으며, 10여 기를 확인할 수 있다. 남쪽 무덤 구역은 무덤이 비교적 적어 겨우 3기만 존재하는데, 도로와 약 30m 정도 떨어진 경작지 가장자리에 있다.
1979년 5월 길림성 고고훈련반의 발굴 결과 부장품은 많지 않았고, 쇠 화살촉[철전두(鐵箭頭)] 1점이 나왔다.
청룡 고분군의 형식과 구조는 기본적으로 장인(長仁) 고분군과 서로 비슷하여 발해 시대의 무덤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