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교 고성

한자 聖教 古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동성진 홍성촌 성교둔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상세정보
성격 성곽
양식 토석 혼축
크기 동서 길이 약 120m, 남북 너비 약 67m, 둘레 길이 374m
현 소재지 화룡시 동성향 홍성촌 성교툰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화룡시(和龍市) 동성향(東盛鄕) 홍성촌(紅星村) 성교둔(聖教屯)에 있는 발해 시대의 고성 유적.

위치

성교 고성은 화룡시 동성향 홍성촌 성교둔 서북쪽에 위치한 대지에 있다.

형태

성교 고성은 장방형이며, 방향은 330°이다. 성벽은 흙과 돌을 함께 다져 쌓은 토석 혼축이다. 동서 길이 약 120m, 남북 너비 약 67m이며, 둘레 길이는 374m이다. 성벽의 기단 너비는 8~10m, 윗부분의 너비는 1~1.5m, 가장 높은 곳은 약 1.70m이다. 성문지와 기타 시설은 자세히 파악되지 않았다.

성 안에는 비교적 풍부한 유물이 흩어져 있다. 유물 가운데 일부 홍갈색 도기 잔편을 제외하면, 모두 청회색(靑灰色) 니질 도기 잔편(泥質陶片)이며, 벽돌과 기와는 매우 적다. 중순구연(重脣口沿), 구멍이 여럿인 시루 밑바닥[다공증저(多孔甑底)], 혹 형태의 그릇 손잡이[유상기이(瘤狀器耳)], 닭벼슬 모양의 손잡이[계관상이(鷄冠狀耳)], 둥근 둥지 형태[원와상(圓窩狀)], 파도무늬[원와상(圓窩狀)]가 있는 도기편 등이 수습되었다.

현황

성교 고성은 2012년 현재, 남·북 두 성벽은 보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하나, 서벽은 일부가 끊어졌고 동벽은 심각하게 훼손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미 경작지가 되어 흔적을 찾기 어렵다. 성 안은 이미 경작지로 개간되었다. 남서쪽에 위치한 돌출된 평평한 대지는 서벽과 연결되어 있는데, 그 길이는 약 90m, 너비는 약 40m이다.

의의와 평가

성교 고성의 형식과 출토 유물로 볼 때 발해의 고성으로 판단된다. 성교 고성은 중경 현덕부와 비교적 가깝다. 규모와 입지로 보면 중경 현덕부의 위성(衛城)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길림성 문물지 편찬 위원회, 『화룡현 문물지』1984
  • 김진광, 『북국 발해 탐험』(박문사, 201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