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三層嶺 山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화향 덕화향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성곽 |
|---|---|
| 양식 | 산성, 석축 |
| 크기 | 높이 1.50~2.20m, 윗부분 너비 1.5~2m |
| 현 소재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화향·덕화향 접경 |
| 원소재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용화향·덕화향 접경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화룡시(和龍市) 용화향(勇化鄕)과 덕화향(德化鄕)의 접경에 있는 산성.
삼층령 산성은 자연적인 산세를 이용하여 서·북·남벽은 산등성이에 축조하였다. 성터는 비교적 넓게 트인 산골짜기로 서쪽이 높고 남쪽이 낮은 키 형태를 띠고 있다. 산성 북벽에서 동쪽 끝부분의 약 140m 정도는 절벽을 성벽으로 삼았고, 북벽 서반부와 서벽의 북반부는 인공적으로 석벽을 쌓았다. 북벽은 자연석으로 평행하게 엇갈려 쌓았으며 성 벽면은 평평하고 반듯하다. 작은 돌로 틈을 메워 매우 견고하다.
대체로 성벽은 12층으로 높이는 1.50~2.20m에 이르며, 윗부분의 너비는 1.5~2m로 일정하지 않다. 북벽은 747m를 뻗어나간 이후 험준한 산등성이를 성벽으로 삼았다. 곧장 강안 절벽으로 뻗었는데, 이 구간의 길이는 470m이다. 문지는 분명하지 않으나 산세와 성의 형식으로 추측하면, 두만강 골짜기 쪽으로 설치되었을 가능성이 비교적 크다.
성 안에서는 보조 시설과 건축 유적이 발견되지 않았고, 유물도 발견되지 않았다. 현지 농민들에 의하면, 일찍이 성 안을 개간하고 땔감을 채취할 때 약간의 철화살촉을 발견하였다고 하나 현재는 그 행방을 알 수 없다.
삼층령 산성은 2012년 현재, 성벽 몇 곳에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제외하면 보존 상태는 비교적 좋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