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鬧枝溝 遺蹟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춘화향 이수구촌 태평둔 |
| 시대 | 고려/고려 |
| 성격 | 터 |
|---|---|
| 크기 | 동서 약 50m, 남북 약 100m |
| 현 소재지 |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춘화향 이수구촌 태평툰 |
| 원소재지 |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춘화향 이수구촌 태평툰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훈춘시(琿春市) 춘화향(春化鄕) 이수구촌(梨樹溝村) 태평천둔(太平川屯)에 위치한 요(遼)·금(金)대 유적.
유적의 동서 길이는 약 50m이며, 남북 길이는 약 100m이다.
1985년에 유적은 이미 파괴되어 농지로 사용되고 있었다. 지표면에는 니질(泥質) 회색 토기편과 기와 파편 등이 산재해 있었다. 또한 니질(泥質) 도기솥[陶鼎] 조각과 철촉 등이 출토되었다.
요지구 유적은 출토 유물과 연관 지어 보면 요·금 시대의 취락 유적으로 볼 수 있으며 금대 훈춘하 통로의 중요한 군사 주둔지인 사하자 고성(沙河子古城)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