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橫道河子 古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추리구진 횡도하자촌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유적 |
|---|---|
| 양식 | 성곽 |
| 크기 | 둘레 길이 1,620m |
| 현 소재지 | 돈화시 서북쪽 추리구진 횡도하자촌 |
| 원소재지 | 돈화시 서북쪽 추리구진 횡도하자촌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돈화시 추리구진 횡도하자촌에 있는 발해 시대의 성곽.
횡도하자 고성은 서쪽으로 불규칙한 방형을 이루는데, 둘레는 1,620m이다. 서벽 중간에는 너비 7m의 문지가 있으며 옹성 흔적도 있다. 서벽 북단 바깥쪽에는 3중의 성벽과 해자가 있는데, 잔여 높이는 2~4m, 성벽 기단의 너비는 3~5m, 해자의 너비는 2m이다. 옹성은 이미 파괴되었다.
고성 안 서남쪽에는 지름이 10m에 달하는 웅덩이가 있고, 그 사방에는 잔여 높이 40㎝의 흙 둔덕이 있다. 고성 동쪽은 목단강과 인접해 있다. 동남쪽 모서리 절벽은 높이가 약 30m에 이른다. 또한 남북향의 석벽을 쌓았는데 길이가 약 70m이며 고성 북쪽은 뇌풍기하에 인접한 약 20m의 절벽이다.
횡도하자 고성은 일찍이 경작지로 개간되었고 다년간 경작으로 인해 유물은 발견하기 어렵다. 그러나 2012년 현재, 성벽과 고성의 배치는 보존 상태가 비교적 좋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