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榆樹川 古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석문진 유수촌 신흥둔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성곽 |
|---|---|
| 양식 | 평지성 |
| 크기 | 동벽 98m, 서벽 105m, 남벽 150m, 북벽 143m, 둘레 500m |
| 현 소재지 | 길림성 안도현 석문진 유수천 일대 |
| 원소재지 | 길림성 안도현 석문진 유수천 일대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안도현(安圖縣) 석문진(石門鎭) 유수천(榆樹川) 일대에 있는 발해 시대의 고성.
유수천 고성의 평면은 장방형이다. 동벽은 98m, 서벽은 105m, 남벽은 150m, 북벽은 143m이며 둘레 길이는 500m이다. 남벽 유지에는 돌무더기 1줄이 있고 서남쪽 모서리에는 지름 5m, 높이 1m의 돌무더기가 있다. 서벽 북쪽에 새로 만든 도랑 단면을 보면, 성벽 기단은 돌로 쌓았고 그 윗부분은 흙과 돌을 섞어서 만들었다. 그 너비는 4m, 잔여 높이는 1m이다.
성안 지표면에는 편편한 모양의 커다란 돌과 자갈이 흩어져 있고 베무늬기와 잔편도 약간 보인다. 기와 잔편은 회색, 갈색, 흑색 3종류가 있으며 그 두께는 1.4~2㎝이다. 푸른색 벽돌 조각도 보인다. 도기는 물레로 빚은 니질 회도편으로 역시 홍갈색을 띠고 있다.
유수천 고성은 2012년 현재, 대부분이 논으로 개간되었으며 서북쪽 모서리는 채소밭이 되었다. 성벽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서벽 북쪽 끝에 일부 유적이 남아 있다.
유수천 고성 안에 흩어져 있는 유물과 남쪽 2.5㎞에 있는 용정시(龍井市)태양 고성(太陽古城)을 바탕으로 살펴보면 유수천 고성은 발해 시대에 축조하여 요·금 시대에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