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보 신흥 유적

한자 萬寶 新興 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만보진 신흥촌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상세정보
성격 유적
양식 성곽
크기 동서 길이, 남북 너비 각각 300m
현 소재지 길림성 안도현 만보향 신흥촌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만보향 신흥촌에 있는 발해 시대 유적.

위치

만보 신흥 유적은 길림성 안도현 만보향에서 서북쪽으로 500m 떨어진 신흥촌(新興村) 안에 있다. 북쪽으로는 높은 산, 남쪽으로는 고동하(古洞河)와 인접해 있다. 서쪽으로 300m 떨어진 곳에 만보 고성(萬寶古城)이 있고 북쪽 산꼭대기에는 만보 신흥 고성보(古城堡)가 있다.

형태

만보 신흥 유적의 규모는 동서 길이와 남북 너비가 각각 300m이며, 마을에서 도랑이 유적을 남북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유적의 북쪽 지면에 도기편들이 흩어져 있으나 기와 조각은 보이지 않는다. 남쪽으로 마을 주변에 기와 조각이 밀집·분포하며 약간의 도기편들도 보인다.

현황

만보 신흥 유적은 2012년 현재, 농경지와 민가가 들어서 있고, 도랑이 흐르고 있어 그 훼손 상태가 매우 심하다.

의의와 평가

만보 신흥 유적은 수습된 유물에 전형적인 발해 건축 재료들이 보이므로 발해 시대의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생활 도구인 도기와 건축 재료인 기와가 출토됨을 볼 때, 마을 유적으로 추정해 볼 수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 향후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 『安图县文物志』(吉林省文物志编委会, 1985)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