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고성 유적

한자 北古城 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서성진 북고성촌  
시대 선사/철기
상세정보
성격 유적
면적 약 300㎡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2년
현 소재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서성진 북고성촌
원소재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서성진 북고성촌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화룡시(和龍市) 서성진(西城鎭) 북고성촌(北古城村) 북쪽에 있는 철기 시대의 유적.

위치

북고성 유적은 서성진에서 동북 3.5㎞ 지점에 있는 북고성촌 북부의 동서로 뻗은 긴 산봉우리 위에 위치한다. 산 아래에는 연길-화룡 간 도로가 있으며, 유적지 남쪽의 2.5㎞에는 해란강(海蘭江)이 두도(頭道) 평원을 관통하여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북고성 유적은 1982년에 대대(大隊) 벽돌 공장이 벽돌을 굽기 위해 흙을 채취하면서 발견되었는데, 노출 범위는 동서 약 20m, 남북 약 10m이다. 흙을 채취할 때 단면을 보면, 제1층은 경토층(耕土層)으로 두께가 약 20㎝였고, 제2층은 문화층으로 두께가 약 30㎝이며 안에는 석기·토기·짐승뼈와 대량의 목탄이 섞여 있었다. 그 아래는 사질원생토(砂質原生土)가 있었다. 노출 흔적을 분석해 보면 반지하식 집자리이다.

출토 유물

북고성 유적의 출토 유물은 석기와 토기이다. 석기는 모두 마제(磨製)이며, 비교적 정교하다. 기형은 기둥모양[柱狀]과 납작한 모양[板狀]의 석부(石斧), 고리모양 석기[環狀石器], 구멍 있는 석도(石刀) 등이다. 토기는 협사 갈도(夾砂褐陶)로 수제(手製)이며, 바닥이 평평하고[平底], 입술이 둥글며[圓脣], 경사진 기벽[斜壁]을 하고 있다. 일부는 토기 표면 위에 유정(乳丁) 손잡이(耳)가 있으며, 기형은 대다수 관(罐)이다.

의의와 평가

북고성 유적의 출토 유물을 볼 때 이 유적지가 철기 시대의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和龍縣文物志』(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中國地圖出版社, 199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