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駱駝山 建築址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춘양진 낙타산둔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건축지 |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79년 |
| 소재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춘양진 낙타산둔 |
| 출토 유물 소장처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춘양진 낙타산둔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왕청현(汪淸縣) 춘양진(春陽鎭) 낙타산둔(駱駝山屯)의 북쪽에 있는 발해 시대의 건축지.
낙타산 건축지는 산기슭에 인공으로 평평하게 고른 길이 약 50m, 너비 약 20m의 대지 중앙에 축조되었다. 대지에는 석두촌 목이장(木耳場)이 있으며, 건축지에는 목이버섯 기둥이 가득 들어차 있고 유적은 명확치 않다. 다만 대지 위에 돌출한 곳과 암키와·수키와·푸른 벽돌[靑磚] 등의 유물이 있다.
1979년 문물 조사 때에 대지 중앙에서 4개의 기초석이 장방형 배열을 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동서 거리는 2.9m, 남북 거리는 4.2m이다. 이 4개 기초석의 서북에는 다른 3개의 기초석이 있는데 배열은 전자와 동일하나 그 가운데 하나의 기초석을 잃어버렸다. 대지의 서남 약 60m의 골짜기 입구 옆에는 한 변 길이 약 4m의 집터가 있으며, 지표 위에는 기와편·와당 등의 유물이 밀집 분포하고 있다.
낙타산 건축지에서 채집한 암키와는 두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기와 끝에 지압문(指壓紋)이 새겨져 있고, 다른 하나는 기와 끝의 앞부분 측면에 각종 무늬도안이 새겨진 끝암키와[檐頭瓦]이다. 수키와는 모두 장부식[榫頭式]이며, 와당은 연화문 와당이다. 푸른 벽돌은 장방형이며, 벽돌의 한 면은 무문이고 다른 한 면은 승문(繩文)이 새겨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