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곡 만기 고분군

한자 金穀 晩期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덕신향 금곡촌  
시대 선사/청동기
상세정보
성격 고분군
양식 돌널무덤, 움무덤
크기 M6(돌널무덤)의 석관 바깥면 : 3.20m[길이]|1.35m[너비]|약 0.70m[깊이]M11(돌널무덤)의 토광 : 약 1.90m[길이]|0.60m[너비]|0.20~0.30m[깊이]M12(움무덤)의 묘갱 : 길이 2m[길이]|0.68m[너비]|0.42m[현존 깊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77∼1979년
소재지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덕신향 금곡촌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용정시(龍井市) 덕신향(德新鄕) 금곡촌(金谷村)에 있는 청동기 시대 고분군.

위치

금곡 말기 고분군은 금곡댐[金谷水庫] 서쪽 구릉 남사면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덕신향(德新鄕) 소재지와 약 10㎞ 떨어져 있다. 무덤 구역의 동서 양측 구릉의 하단에는 각각 소하천이 흐르고 있는데 하나는 팔도하(八道河) 상류에 해당되며, 다른 하나는 팔도하 상류의 지류이다. 북부 구릉은 금곡 선사 유적에 해당되며. 남쪽 약 0.5㎞ 거리의 구릉 위에는 금곡 만기 유적이 위치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연변 박물관이 1977∼1979년까지 세 차례에 걸쳐 유적에 대한 발굴 및 수습조사를 실시하여 모두 14기의 무덤을 정리하였다.

형태

무덤은 산 능선을 따라 남북으로 일자형을 띠고 배열되어 있으며, 중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밀도가 적다. 무덤 간의 거리는 가까운 것은 1∼2m, 먼 것은 7∼8m이며, 가운데 2기는 훼손되어 있다. 무덤은 모두 동서 방향으로 50°∼80°에 해당된다. 대부분의 무덤들이 파괴 혹은 훼손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5기(M1·M3·M4·M8·M9)는 더욱 심하게 파괴되어 묘광(墓壙) 일부만 잔존해 있다. 표토층에서 20∼30㎝ 정도 아래에서 장방형의 묘광이 확인된다.

무덤의 종류는 대략 3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돌널무덤[석관묘(石棺墓)]으로, 모두 2기이다. 장방형의 묘광 내부의 벽면과 바닥에 판석(板石)을 사용하여 축조하고 있으며, 덮개돌 역시 판석을 이용하고 있다. 판석은 모두 불규칙한 회황색 암석으로 이 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 암질로 외부에서 유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는 움무덤[토광묘(土坑墓)]으로 모두 7기이다. 모두 장방형으로 묘광 한쪽 벽면 혹은 가장자리에 소량의 일정 정도의 가공이 이루어진 돌[괴석(石塊)] 또는 판석이 놓여 있다. 세 번째는 돌널무덤과 움무덤 사이에 끼인 중간형으로, 모두 4기이다. 이들 무덤은 묘광 일부에 석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일부는 묘광 양쪽 단면에 괴석 혹은 판석을 세웠으며(M13), 일부는 묘광 바닥에 한 겹의 판석을 깔고 있다. 14기 무덤 가운데 관재(棺材)가 잔존한 것은 6기로, 일부는 남북 양쪽 벽면에서, 일부는 인골 상부에서 확인된다.

잔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9기의 무덤을 통해 보면, 무덤 내부에 인골은 모두 흩어져 있으며, 대부분 다인합장묘(多人合葬墓)로 매장풍속이 비교적 특수하다. 무덤 하나에 3·4구에서 7·8구가 매장되어 있으며, 1차장과 2차장 유골이 혼재되어 있다. 장식(葬式)은 대부분 앙신직지(仰身直肢)이며, 머리 방향은 일부는 동쪽을 향해 있고, 일부는 서쪽을 향해 있다. 인골은 일반적으로 두 줄로 나누어 배열되어 있으며, 2~3층으로 쌓여 있다. 성별로는 남녀 모두가 함께 매납되어 있으며, 연령상으로는 대부분 노년과 중년에 해당되며, 일부 무덤에는 청소년 또는 유아가 함께 매장되어 있다.

출토 유물

14기 가운데 13기의 무덤에서 부장품이 출토되었다. 이 중 부장품의 수량이 가장 많은 무덤은 M5·M7·M12이며, 이밖의 무덤은 부장품의 종류와 수량에 큰 차이가 없다. 부장품의 매납 양상을 살펴보면, 도끼[斧]·창[矛]·칼[刀]·고리모양 석기[環狀石器] 등은 대부분 유골의 양측 또는 머리 부분 주위에 놓여 있고, 돌화살촉[石鏃]은 양측 넓적다리뼈[腿骨] 사이 또는 바깥쪽에 놓여 있다. 토제 드리개[石墜]·석관(石管)·골관(骨管) 등의 장식품은 대부분 머리와 목 주위에서 확인된다. 다만 일부 유물은 상하층의 인골 사이 혹은 인골 아래에서 출토되고 있다.

무덤 출토 유물은 석기 391점, 토기 7점, 골기(骨器) 6점, 청동기 2점, 각종 장식품 140여 점이며, 무덤 주변에서 석기와 토기 등 17점이 수습되었다. 석기는 판암(板巖)·각암(角巖)·편마암(片麻巖)·섬장암(閃長巖)·감람암(橄欖巖) 등 주변에서 쉽게 획득할 수 있는 석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흑요석 석기를 제외하고 모두 간석기[마제석기(磨製石器)]이다. 종류로는 도끼[斧]·자귀[錛]·창[矛]·칼[刀]·과(戈)·화살촉[鏃] 및 고리모양 석기[環狀石器] 등이 있다.

토기는 모두 민무늬[무문(無紋)]이고, 태토에 모래가 섞여 있는 토기[협사도(夾砂陶)]이며, 흑갈색·적갈색 등을 띠고 있다. 모두 손 빚음으로 제작되었으며, 내외면에 물손질이 이루어져 매끄럽게 처리되었다. 종류는 비교적 단순한 편으로 관(罐)과 완(碗)이 주를 이루고 있다. 골기는 모두 동물의 뼈가 사용되었으며, 종류로는 창[矛]·추(錐)·대롱[筒] 등이 있다. 장식품은 수량이 비교적 많은 편으로 청동제 단추[銅扣] 1점, 청동제 장식[銅飾] 1점, 멧돼지 어금니 장식[野猪牙飾] 16점, 녹송석관(綠松石管) 33점, 골관(骨管) 85점, 패환(貝環) 3점, 패주(貝珠) 1점, 취추(翠墜) 3점, 아주(牙珠) 1점, 조개껍데기(蚌殼) 2점, 짐승 어금니[獸牙] 3점 등이다.

현황

무덤 구역은 댐 건설로 인해 현재 심하게 훼손되었다.

의의와 평가

청동기 시대 무덤의 하나로 생활공간인 취락과 떨어져 전문적으로 조영된 공동 묘지이다. 무덤 형식과 매장 풍속 및 부장품 등에서 일정한 차이가 나타나는데 시간상의 차이를 반영한 것이다. 금곡 말기 고분군의 대다수가 다인장이며, 청동기·석모(石矛)·고리모양 석기[環狀石器]·석과(石戈)·두형토기(豆形土器)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고, 골검(骨劍)·타제 흑요석 석기 등은 수량이 극수소에 불과하다. 이를 통해 보면, 금곡 고분의 연대는 소영자 고분보다 늦고, 백초구 고분보다 이른 시기에 해당되며, 절대연대는 대략 3270±155년에 해당된다.

참고문헌
  • 『龙井县文物志』(吉林省文物志编委会, 1984)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中國地圖出版社, 199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