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흥 유적

한자 廣興 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합마당향 광흥촌  
시대 선사/철기
상세정보
성격 유적
면적 약 5,000㎡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3년
현 소재지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합마당향 광흥촌
원소재지 연변조선족자치주 왕청현 합마당향 광흥촌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边朝鲜族自治州) 왕청현(汪淸縣) 합마당향(哈蟆塘鄕) 광흥촌(廣興村)에 있는 초기 철기 시대의 마을 유적.

위치

광흥 유적이 위치한 광흥촌은 합마당향[신흥(新興)] 소재지 서쪽 1㎞ 정도에 위치한다. 광흥촌 뒤에는 우뚝 솟아 구불구불 이어지는 산이 있는데 산 위에는 요금(遼金) 시대의 광흥 산성이 있고, 산 아래는 과수원이다. 유적지는 광흥촌 뒤 과수원 서쪽 산 능선부에 입지해 있다.

형태

광흥 유적은 1983년에 발견되었으며, 면적은 5,000㎡에 달한다.

현황

광흥 유적은 북쪽이 높고 남쪽은 낮은 산사면에 위치하며, 현재의 수로를 경계로 남쪽은 촌락이고 북쪽은 과수원이 자리하고 있다. 과수원과 수로 주변에서 소량의 토기편(土器片)이 확인되었다.

수로 북쪽의 과수원 부근 폐채소 구덩이의 벽면 위에 두께 약 30㎝의 문화층이 노출되어 있으며, 내부에 토기편과 목탄이 혼재되어 있다. 폐채소 구덩이에서 서쪽으로 50m 떨어진 산기슭 아래에서 토기 퇴적층이 발견되었다. 산만하게 흩어져 있는형태로 보아 마을 주민들이 수로를 파낼 때 퇴적된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 유물

광흥 유적에서 채집된 유물은 모두 토기인데, 바탕흙[태토(胎土)]은 진흙질[니질(泥質)]과 모래가 혼입된 형태[협사(夾砂)]로 나뉘며, 모두 손 빚음[수제(手製)]이고, 민무늬[무문(無文)]이다. 진흙질 토기는 대부분 표면에 광택이 있고, 흑갈색을 띠며, 구연부(口緣部)가 벌어졌고, 구연 입술[구순(口脣)]이 꺾여 있는 형태이다. 바닥[底部]에는 그릇 받침[가족권(假圈足)]이 부착되어 있으며, 기형(器形)은 명확치 않다.

바탕흙에 모래가 혼입된 토기는 구연부가 곧고, 입술이 방형(方形)이며, 바닥은 편평한 형태이다. 모두 한 쌍의 손잡이가 달려있는데 손잡이는 기둥모양[柱狀]과 타원형의 혹 형태로 나뉘며, 종류로는 통형관(筒形罐)과 시루[증(甑)]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광흥 유적에서 채집한 유물을 통해 보면 광흥 유적지의 문화 특징은 백초구(百草溝) 유적지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알아하(嘎呀河) 유역의 초기 철기시대 촌락 유적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 『汪淸縣 文物志』(吉林省 文物志 編委會 主編, 1983)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中國地圖出版社, 1993)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