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天門嶺 戰鬪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 지역 |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관련인물/단체 | 이해고, 걸사비우, 대조영, 이진충 |
|---|---|
| 발생|시작 시기/일시 | 698년 |
| 종결 시기/일시 | 698년 |
| 발단 시기/일시 | 696년 5월 |
| 발단 시기/일시 | 697년 |
| 발생|시작 장소 | 미상 |
| 종결 장소 | 미상 |
668년 고구려 멸망 후, 대조영은 가속(家屬)을 이끌고 영주(營州)로 옮겨가 살았다. 요동에서 중원으로 들어가는 관문에 해당하는 영주(營州)[현 조양(朝陽)]에는 고구려 유민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다. 영주에는 거란, 해, 실위, 말갈 등 여러 부족이 섞여 사는 기미주였는데 여기에 고구려 유민들도 많이 있었다.
696년 5월, 거란 추장 이진충(李盡忠) 등이 폭정을 일삼던 영주 도독 조문홰(趙文翽)를 살해하고 거란의 독립을 선언한 사건이 일어났다. 이때 영주에 살던 고구려 유민 가운데 일부 집단이 걸걸중상(乞乞仲象)[대조영의 아버지]과 걸사비우(乞四比羽)의 지휘 아래 탈출해 요동에 정착하였다. 걸걸중상은 당으로부터 진국공으로 책봉하겠다는 회유를 물리치고 왕조 부흥의 길로 나갔다가 병사(病死)하였다. 한편 당(唐)과 밀약을 맺은 돌궐 추장 묵철(默啜)이 이진충의 배후를 공격하여 이진충을 죽이자, 고구려 유민들은 요하(遼河)를 건너 고구려 옛 땅으로 달아났다.
천문령 전투에서 승리한 대조영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동쪽 멀리 이동해서 나라를 세웠다. 또한 영주 지역에 남아 지방군에 편제되어 중급 지휘관이 된 고구려 유민들도 있었다. 당시 동만주 일대에는 과거에 고구려로 편입되어 오랫동안 고구려 주민으로 살았던 말갈 등이 고구려 멸망 후 미약해진 채 흩어져 있었다. 동만주 지역에 분산 거주하면서 재기를 기약하던 이들은 영주로부터 대조영 등의 고구려 유민들이 집단 탈출해 오고 천문령에서 당과 전투를 벌여 승리하자 곧 모여 들었다.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으로 이루어진 대조영 집단은 지금의 돈화(敦化) 지방인 동모산(東牟山)에서 발해의 전신인 진(震)을 건국했고, 곧 고구려 고토의 대부분을 회복했다. 발해 제2대 무왕은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고구려의 계승국임을 자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