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보산 유적

한자 萬寶山 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장춘시 쌍양구 산하진 만보촌  
시대 고대/초기 국가 시대/부여
상세정보
성격 유적
면적 약 60,000㎡
문물|보호단위등급 장춘시 문물 보호 단위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3년
현 소재지 북위: 43.22.29동경: 125.59.25
원소재지 북위: 43.22.29동경: 125.59.25
정의

길림성(吉林省) 장춘시(長春市) 쌍양구(雙陽區) 산하진(山河鎭) 만보촌(萬寶村)에 있는 청동기 시대 및 부여 시대의 유적.

위치

만보산 유적은 길림성 장춘시 쌍양구 산하진 만보촌 남측 남산 위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 음마하(飲馬河)가 흐르고 있으며, 북쪽으로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길림 합달령(哈達嶺)의 북쪽 능선의 자락에 속한다.

형태

만보산 유적은 1983년 서단산(西團山) 문화 돌널무덤[석관묘(石棺墓)] 1기에 대한 수습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대략 석관묘 10여 기 이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유적 내에서 부여 시대의 유물이 함께 수습되었다.

만보산 유적에서 출토된 서단산 문화 유물로는 호(壺), 관(罐), 완(碗) 등의 토기와 청동도, 석부(石斧) 등이 있으며, 토기 내부에서 돼지 이빨이 출토되었다. 유적 내에서 부여 시대의 특징적인 토기인 굵은 모래를 첨가한 갈색의 토기편(土器片)과 두형 토기(豆形土器) 잔편이 수습되었다.

현황

만보산 유적은 유적 주변에 산림이 우거져 있으며,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만보산 유적은 음마하 상류에서 확인된 부여 시대의 유적으로 이 지역의 청동기 문화 양상과 부여 시대의 문화 양상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참고문헌
  • 國家 文物局 編, 『中國 文物 地圖集-吉林 分冊-』(中國 地圖 出版社, 1993)
  • 許彦文,「吉林 雙陽萬寶山 石棺墓」(『黑龍江 文物 叢刊』3期, 198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