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廣東山 山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장춘시 구대시 삼대향 서구촌 맹가구둔 |
| 시대 | 고대/초기 국가 시대/부여 |
| 성격 | 산성 |
|---|---|
| 양식 | 토석 혼축 |
| 크기(높이 | 높이: 0.4m |
| 둘레) | 둘레: 310m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0년 |
| 현 소재지 | 구대시 삼대향 서구촌 맹가구둔 동남 500m 산 정상부 |
| 원소재지 | 구대시 삼대향 서구촌 맹가구둔 동남 500m 산 정상부 |
길림성(吉林省) 구대시(九臺市) 삼대향(三臺鄕) 서구촌(西溝村) 맹가구둔(孟家溝屯)에 있는 부여 시대의 보루형 산성.
광동산 산성은 길림성 구대시 삼대향 서구촌 맹가구둔 동남쪽 500m 원형의 산 정상부에 위치해 있다. 산은 동북쪽이 높고, 서남쪽이 낮다. 북쪽으로 500m 거리에 계절성 하천이 서쪽에서 동쪽을 향해 구불구불 지나 제2 송화강(松花江)에 유입되고 있다. 산 아래의 구릉지대는 모두 경작지로 사용되고 있으며, 동측에 상하만진(上河灣鎭)에서 삼대향으로 이어지는 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광동산 산성의 평면은 삼각형이며, 성벽 둘레의 길이는 310m, 동북쪽 성벽은 32° 방향을 향해 있으며, 남쪽과 서북쪽 두 면은 산의 험준한 지세를 이용하여 성벽이 축조되어 있다. 성벽은 모두 토석 혼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성 내측의 높이는 0.4m, 성 바깥쪽의 4m 거리에 2m 너비의 평탄한 환도(環道)가 설치되어 있다. 성내에서 원형의 구덩이 1기가 발견되었다.
광동산 산성은 1960년도 1차 문물 조사에서 처음 확인되었고, 제3차 문물 조사시에 재조사가 이루어졌다. 산성의 남쪽과 서쪽 사면은 수목이 없어 넓은 시야를 확보하고 있으며, 북쪽과 동쪽은 수목이 우거져 있다. 산성의 성벽은 비교적 잘 남아 있는 편이다.
북산 아래의 동서 400m 남북 600m 범위에서 니질에 구연부가 말려 있는 형태의 토기와 회색 경질 토기편 및 유백색의 자기편이 확인되었다. 성 내부의 지표상에서 조잡하게 제작된 회색 기와편이 발견된 바 있다.
광동산 산성(廣東山山城)은 구대시에서 확인된 보루형 산성 중의 하나로 그 형태가 비교적 잘 남아 있는 편이며, 부여 시대에 처음 축조되어 이후 요금 시대까지 사용된 성으로 부여의 성곽과 방어 체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